다음-카카오 합병수혜주 희비’옥석 가려지나’

다음-카카오 합병수혜주 희비’옥석 가려지나’

입력 2014-05-28 00:00
업데이트 2014-05-28 1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과 카카오의 합병으로 들썩였던 관련 종목들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희비가 분명해지는 모양새다.

그간 코스닥 시장에 별다른 대형 재료가 없었던 만큼 오랜만에 의미 있는 이슈가 던져지면서 과열 현상까지 빚어지기도 했다.

주가로만 보면 두 회사의 합병으로 단연 확실한 수혜주는 합병회사인 다음이다.

다음은 28일 오전 장 기준으로 상한가까지 올랐다. 합병 공시 뒤 거래가 시작된 27일에 이어 이틀 연속 상한가다.

덕분에 다음의 주가도 1년 2개월여 만에 10만원을 넘어섰다.

다음이 카카오와 결합하면서 네이버가 독주했던 포털, 검색광고, 모바일 부문을 일정 부분 빼앗아 올 수 있지 않으냐는 시장의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합병 발표 당일인 26일과 27일 연이어 상한가였던 바른손의 상승세도 주목할 만하다.

바른손은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개인회사인 케이큐브벤처스의 케이큐브 1호펀드에 지분 2.6%를 출자했다. 케이큐브벤처스는 카카오의 2대 주주(23.7%)이기도 하다.

바른손 대표이사가 대주주인 바른손이앤에이도 26일과 27일 상한가를 기록한 데 이어 28일 오전 장에서도 2% 이상 오름세다.

반면 위메이드는 카카오의 주주라는 이유로 ‘반짝’ 관심을 받았다가 사흘 만에 약세로 돌아섰다.

26일 합병 공시 직후 상한가로 직행한 위메이드는 기관과 외국인이 차익 시현에 나서면서 27∼28일 이틀 연속 주가가 내렸다.

위메이드는 카카오의 우선주 5.6%를 보유한 주주다.

카카오의 지분 0.05%를 보유한 삼지전자도 26일 13.4% 급등했지만 27일 10.0% 내린 데 이어 28일 오전 장에서도 약세다.

계열사를 통해 카카오에 7억5천만원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국순당은 26일 하루 8.6% 올랐을 뿐 28일까지 이틀째 내림세로 돌아섰다.

네오위즈홀딩스도 자회사가 카카오에 소액을 투자한 것으로 전해져 26,27일 이틀간 주가가 올랐다가 28일 약세다.

종합해보면 합병 공시 당일엔 카카오의 주주들이 너도나도 큰 폭으로 올랐지만 ‘옥’으로 가려지는 기준은 김범수 카카오 의장과 연관 정도라고 볼 수 있다.

다음과 카카오의 합병회사인 다음 카카오의 방향과 성장의 ‘키’를 김 의장이 쥐고 있다고 시장이 판단한 셈이다. 합병 뒤 지분 재편을 하게 되면 김 의장이 최대주주가 되면서 경영 전면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카카오에 지분이 없는 회사도 ‘곁 불’을 잠시 쬐면서 주가가 출렁였지만, 제자리로 돌아가는 추세다.

카카오에 인터넷데이터센터를 제공하는 케이아이엔엑스는 26,27일 상한가까지 올랐지만 28일 오전엔 13% 이상 하락 중이다.

케이아이엔엑스의 대주주로 합병 효과를 봤던 가비아도 26일 상한가까지 올랐지만 28일 11% 내외로 하락, ‘하루 천하’로 끝났다.

다음의 자회사인 다음글로벌홀딩스가 9.1%의 지분이 있는 이스트소프트 역시 26,27일 주가가 10.8% 상승했지만 28일 오전엔 3% 이상 내려 거래중이다.

박양주 대신증권 투자컨설팅부 과장은 “다음 카카오 합병과 관련해 투자할 종목을 신중히 고르되 단기 추종매매가 아닌 이익 전망과 기업가치와 같은 중기투자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