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강세에 수출물가 6년3개월만에 최저

원화 강세에 수출물가 6년3개월만에 최저

입력 2014-05-14 00:00
업데이트 2014-05-14 08: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출기업 채산성 악화…수입물가도 4년만에 최저

원화 강세(원·달러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지난달 수출물가가 6년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4월 수출물가지수(잠정)가 88.33으로 3월보다 2.5%나 하락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2008년 1월의 88.03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수출물가가 하락했다는 것은 수출기업이 같은 상품을 팔아도 손에 쥐는 원화 액수가 줄어 채산성이 악화된다는 뜻이다.

원·달러 평균환율이 3월 1,070.89원에서 지난달 1,044.55원으로 2.5% 하락하면서 수출물가를 끌어내렸다.

미국 달러화 등 계약 통화(수출입 때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통화)를 기준으로 한 수출물가는 지난달 0.1% 내리는 데 그쳤다.

품목별로는 TV용 LCD(-4.5%), D램(-4.2%) 등 반도체·전자표시장치의 4월 수출물가가 전월보다 3.3% 내려 하락폭이 가장 컸다.

화학제품과 제1차금속제품은 각각 2.8%, 2.6% 떨어졌다.

수출물가지수는 작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7.3%나 낮은 수준이다.

수입물가지수도 97.13으로 2010년 4월의 97.06 이후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마찬가지로 원화 강세의 영향이 크다.

수입 물가가 내리면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달 원재료 수입물가지수는 천연고무(-6.1%), 철광석(-6.0%)을 중심으로 3월보다 2.7% 하락했다. 프로판가스(-12.2%), 메탄올(-10.4%), 요소(-9.3%) 등 석탄·석유제품과 화학제품 수입물가도 2.8%씩 빠졌다.

수출입물가가 두 달 연속 동반 하락한 가운데 원화 강세는 이달 들어 더 가파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 13일 원·달러 환율은 전일 종가보다 2.3원 내린 달러당 1,022.1원에 거래를 마쳐 2008년 8월 7일(달러당 1,016.5원) 이후 종가 기준으로 최저치를 경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