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도서구입비 월평균 1만8천690원…11년만에 최저

가계 도서구입비 월평균 1만8천690원…11년만에 최저

입력 2014-04-27 00:00
업데이트 2014-04-27 1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도서구입비가 1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경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으면서 독서 문화마저 퇴보하는 모양새다.

27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계가 책을 사는 데 지출한 비용은 월평균 1만8천690원으로 전년(1만9천26원)보다 1.8% 줄었다.

이는 조사 대상이 2003년 전국 가구로 확대되고서 최저 수준이다.

가계가 한 달에 구입한 책은 2권이 채 안 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한출판문화협회의 ‘2013년 출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도서의 평균 정가는 1만4천678원이기 때문이다.

가계의 도서 구입 지출비용 추이를 보면 2003년 월 2만6천346원에서 2004년 2만1천325원으로 떨어진 뒤 2만∼2만1천원 선을 맴돌다가 2012년 2만원선 아래로 더 내려가 1만원대에서 2년 연속 머물고 있다.

도서 구입비의 감소는 가계의 주머니 사정, 독서 문화의 퇴조 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2.1% 늘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1.2%)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월평균 소비지출 증가율도 0.9%로 2004년 이래 가장 낮았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년마다 시행하는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 2013년 성인의 연평균 독서량은 9.2권으로, 2011년보다 0.7권 준 것으로 집계됐다.

교보문고가 매년 발표하는 ‘연간 도서판매 동향 및 베스트셀러 분석’에 따르면 전자책 등 디지털콘텐츠 판매 성장률은 2012년 31.3%, 2013년 27.4% 등 고공행진을 지속해 전자책이 종이책을 일부 대체하는 경향도 보였다.

출판업계의 부진은 지속됐다.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해 서적 출판업의 생산지수(불변지수, 2010년=100)는 전년보다 0.2% 증가에 그친 94.4였다.

2007년(-5.2%), 2008년(-1.1%), 2009년(-3.5%), 2010년(-2.0%), 2011년(-3.5%), 2012년(-2.4%) 등 6년째 감소하다 반등한 것이지만 증가폭은 미약했다.

도서구입비 지출은 소득이 적은 가계일수록 적었다.

지난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계는 책을 사는 데 월평균 5천278원을 썼다. 1년 전보다 12.9% 감소했다.

반면 상위 20%에 속한 5분위 가계는 3만1천60원을 지출해 전년보다 9.0% 늘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5분위의 책 구입도 30.1% 줄었지만 1분위는 42.6%나 감소 했다.

자칫 소득격차가 학습격차로, 다시 학습격차가 소득격차로 이어지면서 양극화를 고착화시킬 우려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총 급여 7천만원 이하의 봉급생활자에 대해 100만원 한도의 도서구입비를 소득공제해주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