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산업기술 맹추격…한국 ‘넛크래커’ 우려”

“中 산업기술 맹추격…한국 ‘넛크래커’ 우려”

입력 2014-03-17 00:00
업데이트 2014-03-17 1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의 주요 산업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한국이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는 크게 좁히지 못하고 중국에는 쫓기는 ‘넛크래커’(Nutcracker) 신세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17일 발표한 ‘2013년 주요국별 산업기술 수준 조사 결과’를 보면 미국의 기술 수준을 100으로 했을 때 한국은 83.9를 기록했다. 한국은 일본(94.9)과 유럽(94.8)에는 뒤처졌지만 중국(71.4)에는 앞섰다.

KEIT는 28개 산업기술 연구·개발(R&D) 분야의 592개 세부 기술에 대해 산업계와 학계, 연구기관 전문가, 재미 한인 공학인 등 5천34명을 설문조사해 이들 국가의 산업기술 수준을 진단했다.

미국은 바이오·의료기기·로봇·이동통신 등 18개 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은 재료·소재 등 6개 분야에서, 유럽은 자동차·조선 등 4개 분야에서 1등 기술을 갖고 있지만 한국은 하나도 없었다.

한국의 기술 수준은 디스플레이·디지털TV·이동통신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높지만 바이오·의료기기·나노 등 신산업 분야에서는 낮았다. 세부기술 가운데 한국은 메모리소자, 액정표시장치(LCD) 모듈, 초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20개는 최고 수준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주요 산업기술에서 중국이 빠른 속도로 한국을 추격하고 있다.

중국은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한국과의 격차를 2011년 26.9(기준치 100)에서 2013년 19.3으로 줄였다. 반도체는 17.3에서 13.1로, IT융합은 14.9에서 11.7로 축소했다.

KEIT는 한국의 ‘넛크래커’ 위기가 기술 수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넛크래커는 호두 까는 도구로, 한국이 선진국에는 기술과 품질 경쟁에서 밀리고 후발 개발도상국에는 가격 경쟁에서 뒤처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