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음료·캔커피 90% 이상, 학교 매점서 ‘퇴출’

에너지음료·캔커피 90% 이상, 학교 매점서 ‘퇴출’

입력 2014-02-02 00:00
업데이트 2014-02-02 12: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에너지 음료 평균 0.37mg 캔커피 0.46mg로 ‘고카페인’ 기준 초과

지난달 31일부터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음료의 학교 매점 판매가 금지된 가운데 시중에서 판매되는 에너지음료와 캔커피 제품 가운데 93.9%가 퇴출 대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문제연구소 컨슈머리서치가 롯데칠성·코카콜라·해태음료·동원F&B·동서식품·웅진식품 등 16개사가 판매하는 23개 에너지음료와 10개 캔커피 음료의 카페인 함량을 조사한 결과 93.9%인 31개가 고카페인 음료로 분류됐다고 2일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달 31일부터 고카페인 음료를 학교 매점과 학교 주변 우수판매업소에서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을 시행했다.

고카페인 음료는 카페인 함량이 ㎖당 0.15g이상을 함유한 제품을 말한다.

이를 어겨 음료를 판매하면 과태료 10만원, 광고 규정을 위반하면 1천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에너지음료 23개 제품의 ㎖당 카페인 함량 평균은 0.37mg로 고카페인으로 규정하는 0.15mg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이 중 동아제약 ‘에너젠’은 ㎖당 카페인 함유량이 1.6mg로, 기준치의 10배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삼성제약 ‘야’(0.66mg), 몬스터에너지코리아의 ‘몬스터 코나 블렌드’, ‘몬스터 자바 민빈’도 각각 0.65mg, 0.55mg, 0.55mg로 퇴출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

23개 제품 중 규제를 빗겨가는 카페인음료는 롯데칠성음료 ‘핫식스라이트’, 코카콜라 ‘새로워진 번인텐스’ 등 2개 제품 뿐이었다. 이들 제품은 ㎖당 카페인 함량이 각 0.12mg으로 기준치 0.15mg를 밑돌았다.

캔커피 10개 제품 전체는 퇴출 대상으로 분류됐다.

㎖당 평균 0.46mg의 카페인 함량을 보였다. 에너지음료 평균 카페인 함량(0.37mg)보다도 월등히 높은 데다 10종 모두 고카페인 음료 규제 대상이다.

캔커피 중 카페인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코카콜라의 ‘조지아 카페오레’로 ㎖당 0.7mg에 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