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안하는 사람, 병원비 1.7배 더 쓴다

운동 안하는 사람, 병원비 1.7배 더 쓴다

입력 2014-02-02 00:00
업데이트 2014-02-02 1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료 이용률도 운동하는 사람비해 높아

평소에 운동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실제로 병원을 덜 찾고 의료비도 적게 지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 오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의 ‘운동자와 비운동자간 의료이용차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9년 한국의료패널 조사에 참여한 20세이상 건강보험 가입자 1만3천900명의 운동 유형과 병원 내원일 수, 본인부담 의료비 등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자 이 같은 경향이 확인됐다.

조사 대상자를 운동 정도에 따라 ‘운동 안 함’, ‘격렬한 신체활동’, ‘중간정도 신체활동’, ‘걷기’ 등 세 가지 그룹으로 나눠 같은 기간 본인부담 의료비를 따져봤다. 그 결과,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사람의 의료비(연 84만9천965원)는 격렬한 운동을 즐기는 사람(48만6천520원)의 1.75배에 달했다. 걷기 그룹(51만8천374원)과 비교해도 1.64배나 많았다.

성·연령·건강상태·건강위해요인(담배·술) 등의 다른 변수를 모두 통제하고 의료비를 추정한 결과에서도 배수는 1.11~1.21배로 줄었지만 여전히 몸을 움직이지 않는 그룹이 운동하는 그룹보다 더 많은 의료비를 지출했다.

입원·외래를 모두 포함한 의료이용 경험률 역시 격렬한 신체활동 그룹(61%)이 비운동 그룹(68.8%)보다 평균 7.8%포인트(P)나 낮은 것으로 추정됐다. 중간 정도 신체활동을 즐기는 그룹(60.8%)과 걷기를 꾸준히 실천하는 그룹(62.7%)도 전혀 운동하지 않는 그룹을 각각 8.0%p, 6.1%p 밑돌았다.

외래 방문 횟수와 입원일수를 더한 ‘내원일수’도 운동을 하는 쪽이 11.3~22.2%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오영호 연구위원은 “노인인구와 만성질환 증가로 국민 의료비가 크게 늘어나 가계와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며 “의료비 절감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근본 대책으로 생활체육을 포함한 건강증진사업이 추진돼야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