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인재경영] “기술보다…” 인재가 기업을 키운다 “스펙보다…” 사람이 미래를 밝힌다

[창의인재경영] “기술보다…” 인재가 기업을 키운다 “스펙보다…” 사람이 미래를 밝힌다

입력 2013-10-30 00:00
업데이트 2013-10-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혁신기업’의 대표로 통하는 애플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삼성보다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 아니다. 고집쟁이에 외곬로 보통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면도 있었지만, 누구보다 혁신을 추구했던 스티브 잡스라는 인재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1등밖에 모르는 주입식교육 제도 속에선 잡스 같은 인재가 나올 수 없다는 걸 알지만, 현실을 바꾸는 건 그리 쉽지 않다. 현 정부가 줄기차게 외치는 창조경제 실현 역시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는 과정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지난해 삼성경제연구소는 ‘9대 미래 유망산업에서 한국의 기술경쟁력은 선진국의 57% 수준에 불과하고, 인적자원도 선진국의 55% 수준에 그친다’라고 지적했다. 미국과 독일, 이스라엘 등 전통적인 기술강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국가 차원에서 전략 분야를 선정해 국가경쟁력에 우의를 점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독일은 우수 대학을 중심으로 기초연구 강화와 과학기술 핵심인재 육성에, 이스라엘은 엘리트 교육 시스템을 바탕으로 첨단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인재 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싱가포르 역시 이미 16년 전인 1997년부터 세계 초일류 대학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인재 허브 전략을 통해 금융·물류·바이오 산업에 맞는 차세대 인재들을 양산하고 있다. 지난 8월 정부는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 인재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경쟁 위주의 교육 환경에선 창의 인재를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한 셈이다. 세계 시장에서 매일 전쟁을 치르는 기업들 입장에선 열매가 익을 때까지 앉아서 기다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미래 먹거리를 위해 창의 인재 발굴과 양성에 팔을 걷어붙인 기업들의 모습을 짚어 본다.



2013-10-30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