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6쌍중 1쌍은 연상녀-연하남…혼인식 10월 최다

결혼 6쌍중 1쌍은 연상녀-연하남…혼인식 10월 최다

입력 2013-10-29 00:00
업데이트 2013-10-29 0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 바뀌기 전 가을에 결혼하자”

2000년대 이후 결혼을 가장 많이 하는 달은 10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면서 연상녀-연하남 커플이 크게 늘어났다.

29일 통계청의 인구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2000~2012년 13년간 총 혼인 건수는 월별 발생 기준으로 417만4천584건으로 월평균 2만6천760건이었다.

월별 평균 혼인 건수는 10월이 3만8천340건으로 가장 많았고, 11월(3만7천848건)이 뒤를 이었다.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결혼의 달’인 5월은 3만4천643건으로 3위였다.

여름철인 8월은 1만3천732건으로 결혼 건수가 가장 적었다. 다음으로 7월(1만3천737건), 9월(1만9천512건) 순으로 적어 대체로 한여름 장마철의 결혼식은 피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이재원 인구동향과장은 “가을 결혼이 많은 것은 ‘한 살’이라도 나이를 더 먹기 전에 결혼하려는 심리와 날씨가 좋은 계절에 식을 올리고자 하는 수요가 맞물렸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결혼정보회사 듀오 관계자는 “5월 성수기에는 결혼업체 예약이 쉽지 않지만 성수기를 살짝 비켜간 10~11월에는 결혼업체들이 할인 이벤트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실속있는 결혼을 원하는 분들이 많이 몰린다”고 말했다.

남녀 모두 초혼부부 중 ‘연상남-연하녀’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떨어졌다. 남자가 연상인 부부의 비중은 2002년 74.1%에서 지난해 68.2%로 낮아졌다.

반면 ‘연상녀-연하남’ 부부의 비중은 같은 기간 11.6%에서 15.6%로 4%포인트 늘었다.

통계청은 “연상녀 연하남 커플이 많아지는 것은 여성의 사회적인 지위가 높아지고 사회가 개방적으로 변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초혼 연령을 보면 1990년엔 남자가 27.8세, 여자가 24.8세에 첫 결혼을 했지만 2012년에는 남자 32.1세, 여자 29.4세로 높아졌다.

이혼의 경우 지난 13년간 166만7천145건이 이뤄졌고, 월평균으로는 1만687건이었다. 월별로는 3월이 1만1천474건으로 가장 많았고 9월이 9천792건으로 가장 적었지만 월별 편차는 혼인에 견줘 크지 않았다.

결혼은 좋은 달을 골라 계획적으로 진행하지만 이혼은 특정 시기를 정해서 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