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구도 고령화’…장애인 10명중 4명은 노인

‘장애인구도 고령화’…장애인 10명중 4명은 노인

입력 2013-10-07 00:00
업데이트 2013-10-07 0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구고령화의 영향으로 장애인구 가운데서도 취약계층으로 꼽히는 장애노인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노인의 실태와 과제’ 연구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 장애인 중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은 38.8%(2011년 기준)로 2005년 32.5%, 2008년 36.1%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노인은 장애인문제와 노인문제를 복합적으로 가지는 취약계층으로, 그 수는 국내 장애인구 268만3천명의 약 5분의 2에 해당하는 101만4천명에 달한다.

장애노인이 늘어나는 이유는 의료기술 발전 등으로 장애인의 수명도 증가하며, 노인층이 장애를 얻은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장애노인의 장애 발생 시기는 만 60세 이상인 노년기가 58.7%로 가장 많았고 청·장년기(19~59세)는 33.1%, 발달기(18세 이하)는 8.2%에 그쳤다. 장애기간이 20년 미만은 71.9%에 달했다.

장애별로는 지체장애가 51.7%로 가장 많았고, 청각장애(16.3%), 뇌병변장애(14.5%), 시각장애(11.2%)가 그 뒤를 이었다.

장애등급 상으로는 4~6급에 해당하는 경증이 67.6%로 중증(1~3등급)보다 2배 가까이 많았지만, 장애노인의 31%는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했다.

혼자 외출이 불가능하다는 장애노인은 전체의 18%였으며, 교통수단 이용을 제외한 전화사용, 식사준비, 빨래 등 ‘수단적 일상생활’ 자립률은 70% 수준으로 전체 노인과 비교할 때 자립률이 20%포인트 이상 떨어졌다.

또 전체 장애인을 대상으로 복지 욕구를 조사했을 때 소득 보장에 대한 욕구가 38.2%로 가장 높았지만, 장애노인은 의료보장 욕구가 41.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보건사회연구원은 “노인복지사업과 장애인복지사업 제공기간의 연계망을 구축하고 욕구가 가장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노년기에 장애노인의 장애 발생이 가장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재활 프로그램 등을 보급·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