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일레븐, 저수익 점포 500곳 매출위약금 없이 정리

세븐일레븐, 저수익 점포 500곳 매출위약금 없이 정리

입력 2013-06-23 00:00
업데이트 2013-06-23 14: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본사와 가맹점주간의 불공정 계약 논란을 빚은 편의점 업계에서 저수익 점포들을 매출위약금 없이 정리하겠다는 발표가 처음으로 나왔다.

편의점 세븐일레븐은 전체 7천270곳의 점포 가운데 가맹점주의 수익이 저조한 점포 500곳을 선정해 점차 정리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편의점 본부가 가맹점주의 수익성 악화를 고려해 대규모 점포 정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세븐일레븐은 매출 저조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맹점주들이 중도폐점을 원할 경우 계약상 매출위약금을 받지 않고 정리할 방침이다.

세븐일레븐은 가맹점주의 부담을 덜기위해 점포 화재·현금 도난 관련 보험료도 전액 부담하기로 했다.

본사와 가맹점주간 수익 배분율에 따라 각각 부담했던 ‘위탁가맹점’(회사가 임차하고 가맹점주가 위탁 경영하는 점포)’의 월세 인상분도 100% 부담하기로 했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가맹점주들이 안심하고 영업할 수 있도록 배려하자는 취지에서 개선책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세븐일레븐은 지난달 23일 가맹점주와 상생을 위한 제도개선안과 150억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당시 발표된 상생 프로그램에는 ▲ 가맹점주 민원 관련 자율분쟁해결센터 운영 ▲ 콜센터 운영 ▲ 편의점 상황에 맞는 상품 배송 입수 축소 조정 ▲ 우수점주 휴가 ·해외견학 지원 ▲ 가맹점주 복지 제공·자녀 학자금 지원·채용 우대 등이 포함됐다.

세븐일레븐은 이 가운데 가맹점주 경조사 지원제도를 확정했고 가맹점주의 대학생 자녀 등록금 무이자 대출도 이르면 2학기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가맹점주 자녀 채용도 진행하고 있다.

소진세 코리아세븐 사장은 “상생을 최우선 방침으로 정하고 가맹점주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많은 연구와 대내외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더 나은 제도나 새로운 상생 방법이 나오면 검토 후 즉시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의점 업계 1위 CU도 유사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CU는 이날 매출 저조로 폐점을 원하는 점주에게 매출위약금을 받지 않는 ‘합의해지’ 제도를 이미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달 초 점주 자살 사안과 관련한 대국민 사과 직후 CU는 전사적으로 매출 부진점을 정리하는 작업에 이미 착수했다.

CU는 이밖에 정기 점주 간담회와 상생협력실 운영 등 가맹점과의 소통강화책을 지속적으로 강화, 실천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