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10년간 398만시간 자원봉사

포스코 10년간 398만시간 자원봉사

입력 2013-05-31 00:00
업데이트 2013-05-31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인원 91만명 참여

포스코 사내 봉사단은 10년 동안 연인원 91만 2600명이 총 398만 9874시간을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국내 기업 평균보다 2배 이상 많은 기록이다. 올해도 중소 협력사들을 포함, 200여개사 임직원 5만 3000여명이 해외 22개국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30일 포스코에 따르면 사내 봉사활동을 전문화, 체계화하기 위해 2003년 5월 ‘포스코봉사단’이 창단됐다. 포스코는 봉사단을 지원하는 ‘봉사지원팀’을 만들어 사회복지사 등을 채용하고 봉사활동이 필요한 대상과 회사를 연결해주는 지원 중계센터도 개설했다. 또 자원봉사 가이드북을 제작하고, 자원봉사활동 사이버교육 등을 실행하는 등 전문적 체계를 갖춰 나갔다.

포스코는 매주 셋째 토요일을 ‘나눔의 토요일’로 정해 직원 및 그 가족들이 함께 자매마을, 복지시설 등을 찾아 소통하는 기회를 만들었다. ‘나눔의 토요일’ 봉사인원은 2004년 3000여명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돼 2012년에는 9200명에 달했다. 중소 협력사들로 구성된 포스코 패밀리사도 하나둘씩 봉사단을 창단했고, 2009년 ‘포스코패밀리 봉사단’으로 통합했다. 연 2차례씩 전국적으로 연합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2010년에는 전세계 포스코패밀리가 진출 지역에서 일주일간 봉사하는 ‘글로벌 볼런티어 위크’를 시작했다. 첫해 19개국 151개사 4만 4066명이던 것이 2012년에는 22개국 183개사 4만 9197명이 참여했다.

봉사단원 수는 2003년 1만 5000명에서 10년 만인 2013년 3만명으로, 1인당 봉사시간은 6.7시간에서 36시간으로 증가했다. 국내 기업의 평균 1인당 봉사시간 17시간에 비하면, 2배 이상 많은 셈이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5-31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