伊에 경제위기 그림자… 혁신적 목제품 드물어… ‘따뜻한’ 디자인은 눈길

伊에 경제위기 그림자… 혁신적 목제품 드물어… ‘따뜻한’ 디자인은 눈길

입력 2013-04-11 00:00
업데이트 2013-04-11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밀라노 가구박람회 가보니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2013밀라노국제가구박람회’에 참가한 한 업체의 전시부스. 독특한 방식으로 의자를 진열해 이목을 끌었다.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2013밀라노국제가구박람회’에 참가한 한 업체의 전시부스. 독특한 방식으로 의자를 진열해 이목을 끌었다.
유럽발 경제위기의 짙은 그림자가 ‘세계 가구의 수도’로 불리는 이탈리아에도 드리워졌다. 2008년 4250만 유로를 기록했던 이탈리아 목재가구 시장의 총매출은 2013년 2720만 유로로 급감(-36%)했고 1만 4600여곳의 가구 회사가 문을 닫았다. 지난해 목재가구 종사자 수도 6만 7600여명이나 줄었다.

이 같은 기류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9일(현지시간) 개막한 세계 최대의 가구전시행사 ‘2013밀라노국제가구박람회’에도 고스란히 나타났다. 서울 코엑스의 50배 정도 달하는 전시장(총면적 53만㎢)을 자랑했지만 예년과 달리 혁신적인 디자인,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만나기 어려웠다.

박람회장을 찾은 안성호 에이스침대 대표는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근 2년간 전시장의 모습은 달라진 게 없다”면서 “가구 디자인 역시 가죽에서 천 소재로 ‘천갈이’만 했을 뿐 큰 변화를 볼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전시장을 둘러본 업계 관계자들도 지난해와 비교해 새로운 디자인은 전체 전시물의 5% 정도라고 평가했다. 올해 박람회의 주제를 ‘이노베이션’(혁신)으로 내세운 것이 무색했다. 다만 사용자의 편리함과 안락함을 배려하고 자연을 모티브로 한 ‘따뜻한’ 디자인이 눈길을 끌었다. 무채색이 주를 이룬 가운데 노란색, 보라색, 녹색 등을 포인트 색상으로 사용한 가구들도 많았다.

유행과 상관없이 한 스타일을 고집하는 북유럽 가구와 달리 이탈리아 업체들은 해를 거듭하며 늘 뭔가를 시도해 왔다. 이탈리아 가구가 세계 시장을 선도한 이유도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창조력 때문이었다. 이 같은 위기를 의식한 듯 이탈리아 주요 일간지 ‘일 메사제로’는 특집기사를 통해 “경기 불황에다 아시아 시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탈리아 가구산업을 성장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창조력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1961년 시작한 가구박람회는 올해로 52회를 맞았다. 매년 전 세계 2500여개 업체가 참가하며 브랜드 가치만 약 140조원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약 30만명이 전시장을 찾았다. 한편 한국의 전통공예 분야 최고 장인 16명은 트리엔날레 디자인 전시관에서 ‘한국공예의 법고창신(法古創新)’이란 주제로 첫 공예전을 열어 관람객의 주목을 받았다.

밀라노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4-11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