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성장률 0.1%… 금융위기 이후 최저

3분기 성장률 0.1%… 금융위기 이후 최저

입력 2012-12-07 00:00
업데이트 2012-12-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2.4% 성장 물건너가

올 3분기 경제 성장률이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급락했다. 한국은행이 올해 전망한 2.4% 성장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 내년 성장률 전망도 하향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한은은 6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0.1% 성장에 그쳤다고 밝혔다. 10월 말 발표한 속보치(0.2%)에도 못 미치며 ‘제로 성장’에 머문 셈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1분기(0.1% 성장)와 같은 수치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한 성장률도 속보치(1.6%)보다 못한 1.5%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도 2009년 3분기(1.0%) 이후 최저다.

설비투자가 속보치 추산 때보다 더 나빠진 게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전기 대비 3분기 설비투자는 4.8% 감소했다. 속보치 때는 -4.3%였다.

올들어 3분기까지의 성장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다. 전망치 2.4%를 달성하려면 4분기에 전기 대비 1.6%, 전년 동기 대비 2.6~2.7% 성장해야 한다. 현재로서는 이를 달성하기가 힘들다는 게 정영택 한은 국민계정부장의 분석이다. 내년 3.2% 성장 전망치도 수정할 공산이 커졌다.

3분기 국내 총투자율은 26.0%로 2009년 2분기(24.1%) 이후 최저다. 대선 등 정치일정이 낀 때는 설비투자가 악화되곤 한다. 대기업들이 불확실성에 대비해 설비투자를 줄이고 현금 보유를 늘리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만 해도 올 한해 동안 현금(현금성 자산 포함) 보유액을 4조원이나 늘려 총 19조원의 현금을 갖고 있다.

그나마 소비가 전기 대비 0.7% 늘어나긴 했지만 안심할 수준은 아니다. 정 부장은 “갤럭시S3 출시 등 특수요인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과도한 가계부채와 부진한 고용으로 가계소득이 크게 늘지 않아 민간소비가 회복되는 데 제약이 따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투자도 소비도 지지부진하다 보니 4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제기된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3분기가 경기 저점이 아닌가 싶다.”면서도 “4분기 반등하는 힘이 당초 예상보다 약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잠재성장률(3.8%)을 밑도는 저성장은 이미 현실화됐다. 조윤제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저성장이 지속되면 가계부채 등 약한 고리부터 터질 것”이라면서 “경제성장률을 잠재성장률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거시정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12-07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