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배추절임 식중독 사망자…국내 김치는?

日서 배추절임 식중독 사망자…국내 김치는?

입력 2012-08-21 00:00
업데이트 2012-08-21 08: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이래 집단식중독 2건 보고…환자 약 400명”장출혈성 대장균엔 오염된 적 없어”

일본에서 장출혈성 대장균에 오염된 배추절임을 먹고 7명이 사망한 사건이 터지자 자연스레 절임류와 김치의 오염 가능성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작년과 올해 김치류가 원인으로 의심 또는 확인된 집단식중독은 모두 2건이다.

지난 4월 인천의 모 중학교에서 환자 41명이 발생한 식중독 사고는 급식에 제공된 배추김치가 원인으로 추정됐으나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았다.

당시 가검물 분석에서 식중독 증세의 원인균은 토양과 하천에 널리 존재하는 식중독균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로 밝혀졌다.

이에 앞서 지난해 5월 경기도 광주시 소재 5개 학교에 걸쳐 환자 345명이 보고된 대형 식중독 사고의 원인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김치로 확인됐다.

역학조사 결과 채소 세척에 쓰인 물, 물김치, 환자 가검물에서 모두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식약청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장출혈성 대장균에 오염된 절임류나 김치류에 의한 식중독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지난 2010년 이후 식약청이 실시한 김치류 수거 검사 결과 시중 김치 1천23건 중 2건에서 식중독균(리스테리아, 클로스트리디움 각 1건)이 나왔지만 병원성 대장균은 아니었다.

식약청 식중독예방관리과의 곽효선 연구관은 “일본에서 식중독 사망자를 낸 배추절임과 달리 발효식품인 김치는 발효 과정에서 독성 균이 대부분 사라진다”며 “김치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되는 사례가 드물고, 나오더라도 비교적 흔한 클로스트리디움균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