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中·타이완과 기술격차 크게 줄어… 국가경제 엄청난 타격”

삼성 “中·타이완과 기술격차 크게 줄어… 국가경제 엄청난 타격”

입력 2012-06-28 00:00
업데이트 2012-06-28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장 우려하는 국내업체

국내 업체들이 수조원을 들여 개발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이 조직적으로 중국과 타이완 업체들에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와 LG디스플레이(LGD)가 큰 충격에 빠졌다. 특히 강화된 보안 규정을 뚫고 양산도 하지 않은 55인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기술을 빼내 간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파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SMD 관계자는 27일 “협력업체인 오보텍 내부의 중국, 타이완 업체를 담당하는 직원들이 해외로 관련 기술을 넘긴 정황이 있어 조직적으로 산업스파이 행위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정황상 OLED 기술 대부분이 유출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업체의 OLED 기술을 빼간 것으로 의심받는 중국 디스플레이업체 BOE는 지난해에도 SMD와 LGD의 공정 기술을 빼내다 적발됐다.

55인치 OLED 기술은 SMD와 LGD가 여러해를 공들여 개발한 기술로, 하반기부터는 이 패널을 탑재한 TV가 양산된다. 아직 본격적으로 생산되지도 않은 첨단 기술이 유출된 것이다.

SMD 관계자는 “경쟁 업체들이 OLED 패널 양산 시기를 크게 앞당길 수 있게 됐다.”면서 “국가 전체적으로도 엄청난 경제적 타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오보텍 직원들이 빼돌린 기술이 ‘증착’(진공 상태에서 금속이나 화합물 등을 물체 표면에 얇게 입히는 것) 등 핵심 기술이 아니라는 것이다. OLED 패널 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공정인 증착은 상당 기간의 기술적 노하우가 쌓여야 구현할 수 있다. 사진 몇 장만으로는 기술을 확보하기 어려운 만큼 유출된 기술 자체로는 경쟁 업체들이 당장 OLED를 양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LGD 관계자는 “유출된 회로도 기술은 출시된 제품을 뜯어 보면 알 수 있는 수준이어서 당장은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받을 영향은 클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타이완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유출해 온 기술을 발판으로 예상보다 빨리 OLED 패널을 양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SMD 관계자는 “현재와 같이 처벌 기준이 미미한 상황에서는 지속적인 기술 유출 시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면서 “기술 유출을 시도한 관계자, 회사 내부의 동조자, 해당 업체까지 엄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06-28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