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주유소’ 갈등 확산…주유소 동맹휴업 가나

‘알뜰주유소’ 갈등 확산…주유소 동맹휴업 가나

입력 2012-06-22 00:00
업데이트 2012-06-22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름값을 인하하기 위한 정부의 전방위 압박에 주유소업계가 동맹휴업으로 맞서는 등 정부의 기름값 정책이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지식경제부가 최근 발표한 석유제품 시장 경쟁촉진 및 유통구조 개선 방안이다.

정부는 기름값 안정을 위해 도입한 알뜰주유소를 현재 554곳(농협주유소 포함)에서 연말까지 1000곳으로 늘리고 공영주차장에 알뜰주유소를 신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주유소협회는 주유소들이 속속 문을 닫는 상황인데도 정부가 알뜰주유소를 계속 신설해 경영난에 부채질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강경 투쟁을 천명하고 나섰다.

생존권 사수를 위한 동맹휴업뿐만 아니라 사업권 반납 등도 검토하고 있다. 전제 주유소의 85.5%가 동맹파업에 찬성할 정도로 상황은 심각하다.

주유소협회에 따르면 2010년 말 전국 주유소 수는 1만3003개였으나 올 4월 현재, 1만 2907개로 100개 가까이 줄었다.

주유소들의 휘발유 평균이익률은 지난 2008년 8.1%에서 올 1분기 4.3%로 3.8%포인트 하락했다. 경유의 경우도 9%에서 5.3%로 3.7%포인트 낮아졌다.

만약 카드수수료 1.5%까지 제할 경우 마진율은 휘발유와 경유가 각각 2.8%, 3.8%에 그쳐 손에 남는 게 거의 없다는 것이 업계 주장이다.

김문식 한국주유소협회 회장은 “과당경쟁 상황에 직면한 주유소시장에 인위적인 경쟁을 유도하는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혼합판매와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 소비자와 주유소업계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지식경제부는 당초 계획대로 밀고 나간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공영주차장 알뜰주유소의 경우도 수십 개 설치하자는 것이 아니라 우선 공릉동 화랑대역 인근에 첫 점포를 연 뒤 시범적으로 운영하면서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논란이 되고 있는 ‘석유 캔’ 문제에 대해서도 현재 관계기관과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안전성과 경제성을 점검하는 중이라며 신중한 입장이다.

주유소업계의 사상 초유의 동맹휴업이 현실화될지는 정부와 주유소업계의 협상에 달려 있다.

하지만 유류세 인하카드를 배제한 정부의 기름값 인하 정책이 정유업계의 반발에 이어 이번에는 주유소업계의 동맹휴업이라는 또 다른 부담을 안게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 기사입니다. 모든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