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힘현미경으로 암세포와 정상세포 구분

원자힘현미경으로 암세포와 정상세포 구분

입력 2012-06-19 00:00
업데이트 2012-06-19 1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세대 연구팀, 앙게반테 케미 속표지논문 게재

교육과학기술부는 연세대 의공학부 윤대성·권태윤 교수팀이 원자힘(Atomic Force) 현미경으로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달리 무한 증식하는 특징이 있다. 암세포의 분열이 계속되면 혈관벽이나 조직을 파괴하고 내부로 침투한다. 또한 혈액 등을 타고 다른 장기나 조직으로 이동하는 암 전이가 발생한다.

왕성한 세포분열로 공간이 부족해지면 암세포는 효소를 분비한다. 이때 효소는 금속이온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서, 주변조직을 제거하고 공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이 효소의 미세한 농도 차이를 감지하고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민감도가 높은 원자힘 현미경의 공진(외부 진동으로 진폭이 커지는 현상) 특성을 이용해 효소 단백질의 특정 펩타이드 서열이 가수분해되는 현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이 방법은 펩타이드가 가수분해된 양을 정량화하고, 효소의 활성도를 판단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실제 암세포를 대상으로 한 실험으로 정상세포와의 구별, 유전자 변형에 의한 돌연변이 효소 발견도 가능함을 확인했다.

윤대성 교수는 “이번 기술은 별도의 까다로운 공정 없이 상용화된 장비인 원자힘 현미경을 이용했고 실험방법도 간단하다”며 “암세포의 특성과 세포간 신호전달 경로를 규명해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화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최신호에 속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