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가계 소득ㆍ소비 모두 증가…교육비는 감소

1분기 가계 소득ㆍ소비 모두 증가…교육비는 감소

입력 2012-05-18 00:00
업데이트 2012-05-18 1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계대출 늘어난 탓에 이자비용 18.3% 급증

1분기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6.9% 증가하고 소비지출액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비는 대학등록금 인하 덕에 감소했다.

소득은 하위분위 가계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컸으며 평균 소비성향은 5분위에서만 늘어났다. 가계대출 때문에 이자비용은 18.3% 급증했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12만 4천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소득은 3.8% 늘어났다.

가계소득 중 비중이 65.3%로 가장 큰 근로소득이 8.2% 증가한 결과다. 취업자는 46만7천명 늘어났고 상용근로자 구성비는 44.4%에서 45.2%로 개선됐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56만 8천원으로 5.3%(실질 증가율은 2.2%) 증가했다.

비목별 소비지출 증가율을 보면 식료품ㆍ비주류음료 5.9%, 주거ㆍ수도ㆍ광열 6.9%, 음식ㆍ숙박 7.9% 등이다.

그러나 교육비는 36만 4천원으로 0.2% 감소했다. 대학등록금 인하로 정규교육비가 1.4% 줄어든 덕분이다. 학원ㆍ보습비는 1.8% 증가했다.

가계대출이 늘어나면서 이자비용 지출은 지난해보다 18.3% 증가해 월평균 9만6천원에 달했다.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333만3천원으로 6.8%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76만5천원으로 12.2% 늘어나고 평균소비성향은 77.0%로 1.1%p 감소했다.

가계소득은 모든 분위에서 증가했다. 특히 1∼4분위의 소득증가율이 8.1%∼9.3%로 5분위 증가율 4.5%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소비지출은 상위분위 증가율이 커 평균소비성향이 5분위만 증가했다. 1분위가 137.3%로 6.6%p 하락했지만 5분위는 62.5%로 1.5%p 상승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