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자 “귀금속 투자수익률 가장 높을 것”

글로벌 투자자 “귀금속 투자수익률 가장 높을 것”

입력 2012-05-15 00:00
업데이트 2012-05-15 1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세계 투자자들은 향후 10년간 귀금속에 투자할 때 수익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프랭클린템플턴 인베스트먼트가 전세계 19개국(전세계 국내총생산(GDP) 70% 차지) 투자자 2만62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올해는 물론 향후 10년에 걸쳐 귀금속에 대한 투자 수익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했다.

전세계 투자자들이 귀금속에 투자했을 때 기대하는 올해 연간 수익률은 6.96%였다. 부동산(3.84%), 주식(2.70%) 등을 앞질렀다. 비금속은 6.21%의 기대수익률로 귀금속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향후 10년 동안 기대하는 연평균 수익률도 비슷했다. 귀금속이 7.77%로 기대수익률 1위였다. 비금속은 7.38%로 2위를 차지했다. 부동산과 주식에 대한 기대수익률은 각각 6.00%와 4.50%였다.

한국 투자자들도 귀금속에 대한 투자 수익률을 가장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올해 귀금속 투자에 대한 기대수익률을 6.10%로 가장 높게 예상했고 비금속 투자 수익률을 5.10%로 두번째 높게 기대했다. 부동산과 주식의 기대수익률은 1.60%와 2.40%에 불과했다.

향후 10년의 연평균 기대수익률도 귀금속이 7.00%로 가장 높았고 비금속이 6.40%로 뒤를 이었다. 부동산과 주식은 3.10%와 4.30%에 불과했다.

채권 투자를 통한 수익률은 전세계 투자자들과 한국 투자자들 모두 다른 자산에 비해 기대수익률을 가장 낮게 예상했다.

전세계 투자자들은 올해 채권을 통한 기대수익률을 2.63%라고 답했고 같은 질문에 한국투자자들은 1.40%라고 응답해 글로벌 투자자들보다 더 낮은 수치를 제시했다.

향후 10년 채권 투자에 대한 연평균 기대수익률 역시 전 세계 투자자들은 3.87%에 불과했고 한국 투자자들도 2.50%에 머물렀다.

전체 응답자들의 37%가 향후 1~3년간 자신들이 속한 국가의 시장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현재 자국 시장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 43%보다는 개선된 수치다.

한국투자자들도 향후 1~3년간 국내 시장전망에 대해 50%만이 부정적으로 보고 있어 현재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는 61%보다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국투자자들은 여전히 포트폴리오상 주식이 2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펀드(20%), 부동산(17%), 보험(10%), 은행예금(10%), 귀금속(6%) 순으로 차지했다. 채권은 5%에 그쳤다.

한국투자자의 46%는 지난 3년간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위험 회피적이었다고 답해 전세계 투자자들이 답한 45%보다 좀 더 높은 위험회피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향후 10년간 가장 위험한 자산군별로는 전체 응답자의 54%가 주식으로 답했고 한국 응답자의 49%도 주식을 첫손에 꼽았다.

프랭클린템플턴 투자신탁운용 전용배 대표이사는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어 보수적이고 위험회피적인 성향이 강해졌다”면서 “이번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시장을 조심스럽게 낙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전 대표이사는 “한국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글로벌 투자에 관심이 높고 위험 회피 성향이 강해 채권 투자 등도 한국 투자자들의 투자 목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