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시 4%대 뚫은 물가…‘전기료 후폭풍’도 우려

다시 4%대 뚫은 물가…‘전기료 후폭풍’도 우려

입력 2011-12-01 00:00
업데이트 2011-12-01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재부 “서민 용품 가격안정 위해 대응방안 마련”

11월 소비자물가가 다시 4%대로 치솟았다. 고유가 부담 속에 가공식품 가격이 오르고 전세금의 오름세가 꺾이지 않은 탓이다.

비교시점인 작년 11월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기저효과도 있었다.

이달에도 고유가 상황이 이어지고 열차료 등 공공요금 인상 요인을 고려하면 고물가에 따른 서민 부담은 커질 전망이다.

◇에너지ㆍ가공식품ㆍ전세금에 쌀값까지 상승

통계청이 1일 발표한 소비자물가(신지수 기준)를 보면 11월 상승률은 4.2%로 석 달 만에 다시 4%를 넘어섰다. 8월(4.7%)에 올해의 고점을 찍고 10월에는 3.6%까지 떨어졌지만, 다시 물가 부담이 커진 것이다.

물가지수를 바꾸기 전인 구 지수 기준으로는 11월에 4.6%나 올랐다.

재상승의 주범으론 에너지요금, 가공식품, 전세금 등이 꼽힌다.

전월 대비로 0.1% 오르게 한 기여도를 따져보면 농산물(-0.11%포인트) 등이 하락요인이 됐지만 가공식품(0.06%포인트)을 포함한 공업제품(0.21%포인트), 집세(0.04%포인트)가 상승요인이 됐다.

품목별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보면 고추 흉작에 따라 고춧가루(97.0%)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쌀도 18.5%나 상승했다. 집세 오름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으면서 전세금은 5.9%, 월세도 3.4% 올랐다.

가공식품 오름폭은 8%를 웃돌았다. 지난달 가격이 오른 우유(11.1%)를 비롯해 기상악화로 생산이 줄어든 소금(50.3%), 어린이가 주로 먹는 사탕ㆍ비스킷(15.1%), 탄산음료(10.0%) 등 두자릿수 상승률을 보인 품목도 수두룩하다.

도시가스(14.7%), 지역난방(6.0%), 전기료(2.0%)도 올라 월동부담이 가중됐다.

다행이라면 정부의 통신사 압박으로 물가지수에서 가중치가 높은 이동전화료(-6.8%)가 떨어진 것을 꼽을 수 있다.

◇高물가 계속…산업용 전기료 올라 2차충격 우려

이달에 체감하는 물가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고유가 상황이 지속하는 가운데 공공요금이 줄줄이 오르기 때문이다.

우선 4년 동안 묶였던 KTX 요금이 3.3% 오르는 것을 포함해 철도요금이 평균 2.93% 인상된다. 5년간 동결됐다가 지난달 26일 2.9% 올린 고속도로 통행료도 12월 물가지수부터 반영된다.

전기요금은 이달 초부터 산업용을 중심으로 4.5% 올릴 예정이다. 주택용 요금을 동결하는 만큼 소비자물가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가파르게 오른 산업용 요금은 기업들의 원가부담을 키워 다시 제품 가격 인상을 불러오는 2차 충격이 우려된다.

이미 경기ㆍ인천지역 시내버스요금이 지난달 26일부터 100원 오른 데 이어 서울 대중교통요금도 내년 상반기에는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라면 값도 올랐다. 농심은 2008년 이후 4년 만에 신라면 등 라면 가격을 소매가 기준으로 평균 6.2% 인상했다.

원화가치 하락과 고유가에 따라 수입물가는 10월에 작년 같은 달보다 16.0% 올라 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다. 수입물가가 오르면 소비자물가 상승을 부추기게 된다.

1년간 물가상승률 전망 수준인 기대인플레이션율도 11월에 4.1%로 5개월째 4%선을 넘어섰다.

정부가 ‘꼼수’라는 지적을 받으면서 물가지수를 개편했지만 1~11월 상승률이 4.0%인 만큼 올해 연간 상승률은 3%대로 떨어지는 것은 불가능할 전망이다.

양동희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12월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로 3.5~4.6% 사이에 있으면 연평균은 4.0%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2월에 4.6%를 웃돌지 않으면 정부의 연간 물가 전망치인 4.0%에 맞아떨어지게 된다는 얘기다.

기획재정부는 “당분간 어려운 물가여건이 지속할 수 있는 만큼 서민 밀접품목의 가격안정을 위해 대응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