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佛 유로존 위기 해법 논의

獨·佛 유로존 위기 해법 논의

입력 2011-10-10 00:00
업데이트 2011-10-10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메르켈·사르코지 베를린 회담… 기업들, 은행 자본확충 등 촉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9일 저녁(현지시간) 베를린에서 유로존 위기 해법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앞서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3국의 기업인들은 이날 단체 공동성명을 통해 유럽통화기금의 창설과 유로존 은행의 자본확충, 재정개혁 등을 촉구하며 양국 정상을 압박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3국 기업인들은 성명에서 ‘유로존의 더욱 강력한 정치·경제적 통합을 위한 노력’과 같은 비약적인 진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를 위해 독립적인 유럽통화기금의 신설과 유럽 은행권의 자본 확충, 신속한 재정개혁 등을 담은 새로운 방안을 내놓았다.

또 독일 언론은 프랑스 5개 대형은행이 정부에 공적자금을 요청, 1000억~1500억 유로를 지원받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으며, 독일의 최대 은행인 도이체방크도 공적자금을 통한 자본 확충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프랑스는 4400억 유로의 대출 여력을 지닌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을 활용해 재정위기국의 국채를 대거 보유한 은행들의 자본을 늘려 주자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독일은 EFSF는 최후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며 ‘EFSF 활용 방안’에 반대하고 있다. 7일 마르크 뤼테 네덜란드 총리와 회담한 메르켈 총리는 “은행의 자본 확충 필요성에는 동의했다.”면서도 EFSF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1-10-10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