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식품물가 16.1%↑…6년來 최대

신선식품물가 16.1%↑…6년來 최대

입력 2010-08-02 00:00
업데이트 2010-08-02 1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물가 2.6% 상승..6개월째 2%대 유지

이상 기온 등 기후요인으로 생선과 채소 등 신선식품의 물가가 6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그러나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6개월째 2%대를 기록해 안정세를 보였으며,정부는 8월에도 2%대의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2일 통계청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지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로 작년 4월 이후 9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섰으나 2월 2.7%,3월 2.3%,4월 2.6%,5월 2.7%,6월 2.6%로 2%대를 유지했었다.

 7월 소비자 물가는 전월보다 0.3% 상승해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6.1%나 상승했다.이는 2004년 8월 22.9% 이래 최대치로,전달보다는 3.8%가 올랐다.

 이 가운데 생선.조개류(신선어개)는 전년 동월 대비 11.3%,신선채소는 24.0%,신선과실도 8.6%가 올랐다.특히 배추(61.5%),마늘(70.0%),무(107.1%),포도 (29.3%),국산 쇠고기(12.8%) 등에서 상승폭이 컸다.

 고온과 강우 등 기상요인 등으로 과실·채소를 중심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7월 물가의 주요 상승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기획재정부는 분석 자료에서 “통상 7~8월은 휴가철 수요증가와 함께 고온 등으로 공급지가 고랭지로 제한되면서 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시기”라며 “특히 올해는 봄철 이상저온 여파로 포도 등의 작황이 부진한 가운데 7월 기상여건도 약화돼 농산물가격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7%,전월 대비로는 0.3% 올랐으며,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7%,전월 대비 0.2%가 올랐다.

 부문별로 작년 동월 대비 증가 폭을 살펴보면 석유류 등이 올라 공업제품은 2.8% 상승했으며,서비스 부문은 1.7% 오른 가운데 공공서비스 0.5%,개인서비스와 집세가 각각 2.2%,2.0%의 상승률을 보였다.

 소비자 물가 기여도는 서비스 부문이 1.02% 포인트로 나타난 가운데 개인서비스 0.76%포인트,공공서비스 0.09%포인트,집세 0.18%포인트였다.

 재정부는 “국제항공료 성수기 요금 적용,단체여행비 상승 등으로 개인서비스 요금이 상승폭을 다소 확대하면서 7월 물가를 높이는 요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공업제품의 물가 기여도는 석유류 0.48%포인트를 포함해 0.87%포인트로 나타났고,농축수산물은 0.63%포인트였다.전년 동월 대비 품목별 물가는 대부분의 농축수산물 물가가 크게 오른 반면,쌀(-10.0%),달걀(-9.9%)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자동차용 LPG(30.1%),금반지(21.7%),등유(8.4%) 등의 상승률이 높았고,컴퓨터본체(-21.3%) 등은 내렸다.

 공공서비스 중에서는 입원진료비(3.5%),외래진료비(2.4%)는 오르고,이동전화통화료(-1.5%)는 내렸다.

 개인서비스의 경우 국내단체여행비(13.9%),대입종합학원비(4.9%),유치원납입금(6.0%) 등이 올랐고,전세와 월세는 각각 2.3%,1.4% 올랐다.

 재정부는 “8월 물가는 국제유가 등 공급 측면의 불확실성에 따른 변동성은 있겠지만 2%대 안정세를 지속할 전망”이라며 “다만 변동성이 큰 농축수산물가격동향과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일부 제품가격 및 개인서비스요금 인상 움직임 등은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윤종원 재정부 경제정책국장도 “8월과 9월에 전기,가스 요금이 오르지만 누적해서 보더라도 물가 상승요인이 0.1% 포인트 밖에 안돼 8~9월까지 2%대 물가를 유지할 것이며 연간으로도 2% 후반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