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내 아파트값 상승 추세 미·일 버블붕괴前 웃돌아”

“국내 아파트값 상승 추세 미·일 버블붕괴前 웃돌아”

입력 2010-03-24 00:00
업데이트 2010-03-2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의 아파트가격 상승 수준이 미국·일본의 부동산 버블(거품) 붕괴 이전보다도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런 가운데 개인들의 주택구입 여력이 갈수록 약해지고 있어 갑작스러운 버블 붕괴(주택가격 급락에 따른 경제충격)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미지 확대
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23일 ‘국내 주택가격 적정성 분석’ 보고서를 내고 “최근 물가대비 아파트가격 상승 정도가 미국 부동산 경기 정점인 2006년보다 가파르게 진행되는 등 주택금융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아파트 가격은 2008년 기준 연간 소득의 6.26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간 번 돈을 고스란히 모아도 집 한 채를 사는 데 6년3개월 이상이 걸린다는 얘기다. 2008년 기준으로 미국은 3.55배, 일본은 3.72배였다.

특히 물가와 아파트가격 간 격차가 커지고 있다. 1987년 물가와 아파트가격을 똑같은 100이라고 봤을 때 지난해 말 현재 물가는 277.9로 2.8배 뛴 반면 아파트가격은 505.8로 5배 이상 올라 둘 사이의 격차가 227.9에 달했다. 이는 미국의 주택가격 버블 붕괴 당시인 2006년 격차(179.2)나 일본의 주택가격 거품 붕괴 당시인 90년 격차(96.6)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1987년 이후 누적 아파트가격 상승률은 누적 물가상승률에 비해 전국은 39.3%, 서울은 80.8% 각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주택구입능력지수(HAI)가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서울의 HAI는 지난해 3분기 기준 61.7로 5년 전에 비해 20%가 감소했다. HAI는 주택담보대출로 아파트를 샀을 경우 월급으로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 것으로 HAI 하락은 주택가격 하락의 전조로 통한다.

실제 미국의 경우 주택가격 버블이 붕괴하기 전 2년 동안 HAI 지수가 33% 하락했다.

박용하 산은연구소 경제조사팀장은 “지금의 아파트가격은 적정가격보다 높은 수준이어서 조정이 있을 것”이라면서 “경착륙은 경제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명목가격은 억제해도 실질가격을 하락시키는 방향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당분간 상승세를 유지하다 연착륙할 것이라는 낙관론도 있다. 시중은행 부동산팀 관계자는 “국내 인구가 2019년을 정점으로 하락하고 서울·수도권은 2030년까지 증가세를 보이기 때문에 그때까지는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설영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0-03-24 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