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징수액 2년만에 반토막…작년 1억2000억

종부세 징수액 2년만에 반토막…작년 1억2000억

입력 2010-02-16 00:00
업데이트 2010-02-16 0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종합부동산세 징수액이 2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종부세는 부동산값을 잡기 위한 참여정부의 상징적 정책 중 하나였지만 현 정부 들어 세대별 합산에 대한 위헌 결정과 세율 및 과표구간 조정, 주택.토지 공시가격 하락 등의 조치가 취해지면서 세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종부세 징수액은 1조2천억원으로 2008년의 2조1천억원에 비해 43.3%나 감소했다.

2007년의 2조4천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2005년 도입된 종부세는 첫해 징수액 4천억원을 시작으로 2006년엔 1조3천억원, 2007년 2조4천억원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과표적용률이 2006년에 70%에서 매년 10%포인트씩 상향조정해 2009년엔 100%가 될 예정이어서 2007년 이후에도 별다른 요인이 없는 한 세수가 계속 늘어나게 돼 있었다.

그러나 종부세의 세대별 합산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2008년 위헌 결정을 내린데 따른 환급금 등으로 종부세 징수액이 줄어들기 시작했고 종부세 부담을 합리화한다는 정부의 방침에 따른 과표구간과 세율 조정 등으로 종부세 세수는 더 줄어들게 됐다.

정부는 작년에 주택의 경우 1세대 1주택자에 대해 3억원의 기초공제를 허용해 과세기준 금액을 기존의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상향조정하고 장기보유자와 60세 이상 고령자 세액공제를 신설하는 등 세부담을 덜어주는 조치를 취했다.

정부가 올해 예산에 책정한 종부세 징수액은 1조500억원 정도여서 작년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주택과 토지의 공시가격이 하락하고 종부세 세율 및 과표구간 조정이 이뤄지는 등의 요인이 작용해 지난해 징수액이 줄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