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韓 음식문화의 뿌리 ‘장 담그기’ 국가무형문화재 된다

韓 음식문화의 뿌리 ‘장 담그기’ 국가무형문화재 된다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11-01 10:45
업데이트 2018-11-01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을 담근 항아리에 버선과 금줄을 걸어놓은 모습
장을 담근 항아리에 버선과 금줄을 걸어놓은 모습 문화재청 제공


콩을 사용해 메주를 쑤고 이를 된장과 간장으로 만드는 과정인 ‘장(醬) 담그기’가 국가무형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한국 음식문화의 뿌리인 ‘장 담그기’를 국가무형문화재 신규 종목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1일 밝혔다.

고대부터 오랫동안 장을 담가 먹는 유구한 역사를 지닌 점, 우리나라 음식 조리법이나 식문화에 관한 연구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 한국의 주거문화·세시풍속·기복신앙·전통과학적 요소 등을 복합적으로 지니고 있는 점, 세대 간에 전승되어 모든 한국인이 직·간접적으로 동참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다만 각 가정에서 자연스럽게 전승하는 생활 관습이자 문화라는 점에서 김치 담그기(국가무형문화재 제133호), 제염(국가무형문화재 제134호)과 마찬가지로 특정 보유자나 단체는 인정하지 않는다.
이미지 확대
항아리에서 메주 덩어리를 꺼내는 과정인 ‘장 가르기’ 모습
항아리에서 메주 덩어리를 꺼내는 과정인 ‘장 가르기’ 모습 문화재청 제공
우리나라는 콩을 발효해 먹는 두장(豆醬) 문화권에 속한다. 삼국 시대부터 장을 만들어서 먹은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장을 따로 보관하는 창고인 장고(醬庫)와 직접 장을 담그고 관리하는 상궁인 ‘장고마마’를 두었다. 메주를 띄우는 과정을 거친 후 된장과 간장 두 가지를 만드는 점, 전년도에 쓰고 남은 씨간장을 이용하는 겹장 형식을 거친다는 점도 한국 ‘장 담그기’의 독창적인 부분이다.

문화재청은 30일 이상 지정 예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