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 친누나 묘 남양주에 있다”

“사도세자 친누나 묘 남양주에 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6-12-28 10:58
업데이트 2016-12-28 1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조가 지은 글 새긴 지석·청화백자합·청동거울도 함께 발견

영조의 딸이자, 개혁군주 정조의 아버지인 사도세자(1735∼1762) 친누나인 화협옹주(和協翁主,1733∼1752)가 이장되기 전 무덤이 경기도 남양주 삼패동에서 확인됐다. 이번에 발견된 묘는 화협옹주와 남편 신광수를 합장했던 묘로 유골은 없는 상태다. 이들의 무덤은 남양주 진건면으로 이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남양주시와 고려문화재연구원이 남양주 삼패동 산43-19번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화협옹주의 무덤 유적과 영조가 직접 지은 글을 새긴 지석, 청화백자합(뚜껑이 있는 그릇), 분채(도자기에 칠한 연한 빛깔의 무늬) 백자 등을 찾아냈다고 28일 밝혔다.

화협옹주는 영조와 후궁 영빈 이씨의 딸로 11세에 옹주로 봉작됐고 같은 해 영의정 신만의 아들인 영성위 신광수와 혼인했다. 미색이 뛰어난 것으로 전해지나 후사 없이 19세에 홍역을 앓다 사망했다.

이번에 발굴된 무덤은 지난해 8월 말 모양 목제 조각 파편과 한 변의 길이가 약 50㎝인 석함 1개가 출토되면서 존재가 알려졌다. 지난해 11월 1차 발굴조사를 통해 백자 명기(망자의 내세 생활을 위해 함께 묻는 작은 기물) 3개가 담긴 석함 1개가 추가로 나왔고 이달 6∼15일 2차 발굴조사를 시행해 화협옹주의 묘라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지석과 석함 1개를 발굴했다.

무덤 안에서는 ‘어제화협옹주묘지’(御製和協翁主墓誌) 지석이 출토됐다. 이 지석에는 딸을 먼저 떠나보내 슬퍼하는 영조의 마음이 담겼다.

또 2차 발굴조사에서 찾은 석함 안에서는 화장품으로 추정되는 물질이 남아 있는 청화백자합 10점과 분채 백자 1점, 목제합 3점, 청동거울과 거울집, 목제 빗 등이 나왔다.

고려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2차 발굴조사의 석함에서 나온 도자기들은 부장품이 아니라 화협옹주가 사용했던 물건일 가능성이 있다”며 “화협옹주 무덤 유적은 사대부가와 결혼한 왕녀에 대한 장례 문화,왕실 여인들의 생활 문화를 유추할 수 있는 자료”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