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네이밍은…민생정부? 박근혜정부?

새 정부 네이밍은…민생정부? 박근혜정부?

입력 2012-12-26 00:00
업데이트 2012-12-26 17: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이 새 정부의 ‘네이밍’(작명)을 놓고 고심중이다.

박 당선인의 한 측근은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새 정부의 이름을 어떤 걸로 정할지 이런저런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조만간 출범할 정권인수위에서 공식적인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앞에 대통령의 이름이나 특정 브랜드를 붙이는 이른바 네이밍은 그 정부의 국정이념과 성격, 나아갈 방향을 함축적으로 나타낸다는 점에서 역대 정권교체 때마다 당선인 측에서 심혈을 기울여 왔다.

역대 정권의 사례를 보면 ‘전두환 정부’, ‘노태우 정부’ 하는 식으로 대통령의 이름을 붙이는 게 관례였으나 지난 1992년 12월 당시 김영삼 대통령 당선인이 군정종식의 의미를 담아 ‘문민정부’라는 이름을 쓰면서 브랜드 명칭이 처음 도입됐다.

이어 김대중 정부는 ‘국민의 정부’, 노무현 정부는 ‘참여정부’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현 정부는 애초 ‘실용정부’, ‘실천정부’, ‘글로벌정부’ 등을 검토했으나 “말만 번듯하게 하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의 실용주의 철학에 어긋난다”는 의견이 힘을 얻어 그냥 ‘이명박 정부’로 명명됐다.

박 당선인 측은 현재 정부 앞에 특정 브랜드를 붙이는 방안과 함께 그냥 ‘박근혜 정부’로 부르는 방안을 동시에 고민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브랜드 명칭을 사용하는 쪽으로 갈 경우 박 당선인이 평소 민생을 강조해 온 만큼 ‘민생정부’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주변 인사들의 전언이다.

핵심 측근은 “새 정부의 이름이 박근혜 정부나 민생정부가 될 수도 있고 제3의 것이 될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