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굄돌] 노약자석에 앉을 권리

[굄돌] 노약자석에 앉을 권리

김미경 기자
입력 1999-11-11 00:00
업데이트 1999-11-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버스나 지하철을 타면 한 눈에 들어오는 표시가 있다.‘노약자석’이 바로그것.아마도 동방예의지국이라고 자부하는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아닐까 싶다.우리의 노인에 대한 배려는 정말 남다르다.또한 노인들도 이를아주 당연시 여겨 오히려 양보를 안하는 젊은이들에게 과감히 호통 치는 모습을 종종 목격하기도 한다.그렇다면 우리 사회에서는 또 다른 '약자'인 어린이와 동반여성에게도 같은 강도로 배려하고 있는가.

며칠 전에 매우 복잡한 지하철 안에서 일어난 일이었다.한 새댁이 어린아이를 이끌고 아이용품이 가득 든 듯한 가방들을 둘러 메고 탔다.그 아이는 어른들 틈에서 숨을 쉬기도 힘들어 보였고 새댁은 더워하는 아이의 옷을 벗겨주지 못하는 안타까움과 부피가 큰 가방들을 주체 못해 연신 땀을 쏟고 있었다.마침 ‘노약자’석이 비어 그 자리를 권하자 새댁은 주저하며 말했다.“거기는 노약자석이쟎아요.이제는 아무나 거기에 못 앉는데요” 그 말이 끝나자마자 한 할아버지가 재빨리 자리를 차지하며,“암,힘든 노인네들이 앉아야하구말고. 새댁은 젊었쟎수.아침부터 아이 끌고 어디 돌아다녀.복잡한 출근시간에는 집에 좀 붙어 있지”하셨다.

사실 법적으로는 똑같은 노약자였지만 상황으로 보았을 때에는 새댁과 아이가 훨씬 힘들어 보였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려는 커녕 이동의 자유까지 제한하는 발언을 서슴없이 하는 모습은,본인은 ‘노인’으로서 존중돼야 하고또 다른 ‘약자’는 한껏 무시해도 좋다는 태도였다.물론 이 한 예로 판단하는 것은 무리이겠지만,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노약자’의 개념이 유교문화가 팽배한 이 사회에서는 ‘약자’보다는 ‘어른’대접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나아가 ‘남자노인’은 당당하게 대접 받기를 원하고 상대적으로 상황이 열악한 ‘여자와 어린이’는 더욱 무시당하는 것이 현실로 드러나 이 가을에 쓸쓸함을 더하게 하는 광경이었다.

[김미경 펄벅재단 한국지부 대표]

1999-11-11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