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속의 한국/송상용 한림대 사학과 교수(굄돌)

일본속의 한국/송상용 한림대 사학과 교수(굄돌)

송상용 기자
입력 1997-02-15 00:00
업데이트 1997-02-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름전 일본 규슈 여행길에 미야마에 들렀다.가고시마 못미쳐,이주인 역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데 사쓰마도자기를 굽는 집들이 모여 있었다.거기에 임진왜란때 잡혀온 한국 도공의 14대 후손 심수관옹의 수관도원이 있다.

한식 대문에는 사쓰마도자기 종가와 주 가고시마 대한민국 명예총영사관의 두 문패가 걸려 있었다.마침 휴일이어서 도자기 수장고는 못보았으나 용케도 마당에 서 있는 심옹과 마주쳤다.한글 명함을 건네니 4백년 전에 와서 한국말을 못한다고 했다.일본말을 잘 하는 후배가 온 뜻을 말하니까 안으로 안내해 차 대접을 했다.

심옹은 한시간 가까이 여러가지 기막힌 얘기를 했다.한국 도공들이 와서 일본문화에 크게 이바지했는데도 사람들이 알아 주지 않아 섭섭하다고 했다.그 다음 얘기가 기막혔다.한국의 어느 유명한 대학교수가 찾아와 심옹이 한국말도 못하고 작품은 왜색이 짙다고 반말로 꾸짖더라는 것이다.그러면서 왜색을 띠지 않았으면 어떻게 오늘까지 살아남았겠느냐고 했다.낯이 화끈해지는 것을 느꼈다.

심옹은 와세다대학을 나온 지식인으로 대를 이었는데 조금도 교만한 데가 없는 인자한 분이었다.아들을 한국에 유학보내 옹기 굽는 법을 배워오게 했다면서 15대까지는 확실한데 그 다음이 이어질지는 모르겠다고 했다.그는 마당에 육각정을 지어 놓고 단군을 모셨던 옥산신사 쪽을 바라본다고 했다.한국사람이 한국 돌로 만든 큰 석물을 갖다 놓고 싶다고도 했다.

내년은 정유재란때 심옹의 선조가 일본으로 잡혀간지 4백년이 되는 해다.지금 재일교포는 70%가 일본사람과 결혼하며 무서운 속도로 민족을 잃어가고 있다.4세기나 한국을 이어 온 일본사람 「진주캉」에게 머리가 숙여진다.

1997-02-15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