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시인 이육사 문학관, “육사 서명 사후 78년 만에 확인”

민족시인 이육사 문학관, “육사 서명 사후 78년 만에 확인”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2-01-18 16:42
업데이트 2022-01-18 16: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족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
민족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
청포도를 쓴 항일 시인 이육사 선생 ‘사인’(sign·서명)의 비밀이 사후 70여년 만에 마침내 풀렸다.

이육사 문학관은 18일 “육사 이원록(1904∼1944) 시인이 남긴 유일한 서명이 사후 78년 만에 공식 확인됐다”고 밝혔다.

문학관에 따르면 최근 육사 순국 78주기 추념식에서 지금까지 주인을 알 수 없었던 정체불명의 서명이 육사의 친필 서명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해당 서명은 이육사가 소장했던 일본어 번역본 ‘예지와 인생’(포르튀나 스트로프스키 지음. 오사와 히로미 번역. 1940년) 속표지에 남아 있었다.

속표지에는 해당 서명과 함께 전서체(篆書體)로 된 陸史(육사) 인장이 선명하게 찍혀 있어 책 주인이 이육사임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인장과 달리 서명은 흡사 영문자로 쓴 것으로 보여 연구자들조차 제대로 해독할 수 없었고,그 때문에 책 주인이 이육사가 아닐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그러던 중 지난해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열린 선비 아카데미 강연장에서 해당 서명을 해독할 수 없다는 얘기를 듣고 한 법무사 사무실 직원이 아이디어를 냈다. 서명을 뒤집어 보라는 것이었다.

이에 서명을 뒤집어서 관찰하니 이육사의 다른 이름인 ‘李活’(이활)이란 글자가 나타났다.

이육사가 뒤집어 보아야 알 수 있는 ‘미러 라이팅(mirror writing)’으로 자신의 서명을 남겼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이육사 문학관 관계자는 “육사 선생의 서명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며 “서명뿐 아니라 인장도 유일한 것이어서 육사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육사 선생의 사인과 인장. 이육사 문학관 제공
이육사 선생의 사인과 인장. 이육사 문학관 제공
안동 김상화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