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처참한 헬기, 동체인양 중 놓쳐버린 시신… 가족들 두 번 오열했다

처참한 헬기, 동체인양 중 놓쳐버린 시신… 가족들 두 번 오열했다

김상화 기자
김상화, 조한종 기자
입력 2019-11-03 22:50
업데이트 2019-11-04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늘 오전 독도 해역 수중 수색 재개

이미지 확대
야속한 바다
야속한 바다 지난 2일 독도 인근 해상에서 지난달 31일 응급환자 이송 중 추락한 소방헬기의 실종자 가족들이 수색 작업을 애타게 지켜보고 있다.
독도 연합뉴스
동체서 90m 떨어진 꼬리서 2구 수습
피해자 모친 “아들 확인하러 왔다” 침통


독도 인근 해상에서 7명이 탑승한 소방헬기가 추락한 지 나흘째인 3일 실종자를 찾기 위한 구조 및 수색 작업이 추가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장기화가 우려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3일 오전 경북 울릉군 보건의료원에서 중앙119구조본부 관계자들이 해경 헬기로 이송된 실종자 시신을 확인한 뒤 오열하고 있다. 울릉 뉴스1
3일 오전 경북 울릉군 보건의료원에서 중앙119구조본부 관계자들이 해경 헬기로 이송된 실종자 시신을 확인한 뒤 오열하고 있다.
울릉 뉴스1
해경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사고 해역에서 발견된 실종자 시신 3구 중 남성 시신 2구를 수습한 데 이어 추가 실종자 구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색 당국은 이날 동체를 인양하고 내부 수색 작업을 완료했지만 실종자를 더 찾지 못했다.

해경 등 수색 당국은 기체 발견 지점 반경 2900여㎢를 6개 구역으로 나눠 해경 함정 4척, 해군 함정 3척, 관공선 2척, 민간 어선 3척 등 12척과 항공기 4대를 동원해 광범위한 수색을 펼치고 있다. 야간에는 원활한 수색을 위해 조명탄을 해경 60발, 공군 240발 등 300발 투하하는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했다.

하지만 수중 수색은 독도 해상에 이날 풍랑주의보가 내려져 오후 1시 30분부터 중단했다. 바람은 북동풍 초속 10∼16m, 파고는 3m로 수중 수색이 불가능한 상태다. 강원지방기상청은 이날 오후 3시 기준으로 동해 전 해상에 풍랑주의보를 발령했으며 4일까지 풍랑특보가 유지될 전망이다.

해경은 “실종자가 동체 인양 위치 인근에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기상이 호전되면 해군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유관기관의 사이드스캔소나, 무인잠수정, 포화잠수장비 등 관련 장비를 총동원해 수중 수색을 철저히 하겠다”며 “4일 오전에 수중 수색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색 당국은 이날 해경 3007함에 안치한 시신 2구를 해경 헬기 등을 이용해 대구 동산병원 장례식장 백합원에 안치했다. 수색 당국은 지난 2일 오전 9시 24분과 오전 10시 8분쯤 독도 해역에서 발견된 동체와 90m가량 떨어진 꼬리 쪽에서 서정용 정비실장과 이종후 부기장으로 신원이 밝혀진 시신 2구를 인양·수습했다.

이날 오후 6시 30분쯤 장례식장에 도착한 서 실장 모친은 “아들이 맞다고 해서 왔다”며 “손자, 손녀, 조카와 왔다. 다른 가족은 먼저 와서 안에 있다”고 말했다. 모친과 그가 손자, 손녀라고 밝힌 아이들은 침통한 표정으로 장례식장 안으로 들어갔다. 소방 당국 통제하에 병원과 유족은 비공개로 장례 절차를 준비 중이다.

수색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독도 현지를 찾았던 실종자 가족 30여명은 소방헬기 인양에도 추가 실종자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오열했다. 실종자 가족들은 이날 오후 수습한 시신마저 육안으로 신원 확인이 어렵다는 게 알려지자 대부분 포항으로 가는 여객선을 타고 떠났다. 이날 오후 헬기 인양 중 시신 1구가 유실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포항 가족 대기실은 순간 울음바다로 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동해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9-11-04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