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중, 유흥주점 대리서비스 이용한 뒤…” CCTV에 담긴 그날 행적

“김호중, 유흥주점 대리서비스 이용한 뒤…” CCTV에 담긴 그날 행적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4-05-17 10:59
업데이트 2024-05-17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채널A 보도화면 캡처
채널A 보도화면 캡처
트로트 가수 김호중(33)씨의 뺑소니 사건이 운전자 바꿔치기와 증거인멸 의혹으로까지 번지는 가운데 김씨가 사고 당일 유흥주점에서 대리기사가 운전하는 차량 조수석에 타고 귀가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김씨 측은 당시 술을 마시지 않았으나 ‘피곤해서’ 대리기사 서비스를 이용했다는 입장이다.

16일 채널A는 사고가 발생한 지난 9일 밤 김씨가 서울 강남의 한 유흥주점에서 나와 대리기사가 운전하는 차량을 타고 귀가하는 장면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는 김씨가 대리기사가 대기하고 있는 검은색 승용차 조수석에 올라타는 모습이 담겼다. 해당 차는 김씨 명의의 차량으로, 대리기사는 김씨를 집까지 태워다줬다.

김씨 측 관계자는 조선닷컴과의 통화에서 “김호중은 당시 술을 마시지 않았지만 피곤해서 유흥주점에서 서비스 차원으로 제공하는 대리기사 서비스를 이용한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집에 도착한 김씨는 약 50분 뒤 다시 집에서 나왔다. 소속사 측은 김씨가 지인들을 만나기 위해 다시 차를 끌고 나왔다고 설명했다.

김씨는 흰색 SUV 차량을 직접 몰고 다른 목적지로 이동하다가 맞은편 차선의 택시를 들이받는 사고를 내고 그대로 달아났다.
이미지 확대
채널A 보도화면 캡처
채널A 보도화면 캡처
소속사 측은 사고 당시 김씨가 공황 장애 증상을 겪어 사고 뒷수습을 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김씨가 사고 직후 현장에서 200m 정도 떨어진 골목에 차를 정차한 뒤 내려서 누군가와 통화하는 모습이 담긴 CCTV 영상도 공개됐다.

김씨는 사고를 낸 뒤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경기도의 한 호텔에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김씨의 매니저인 30대 남성 A씨는 10일 오전 1시 59분 경찰서를 찾아 자신이 운전자라며 자수했다. 하지만 경찰은 김씨가 차량 소유주임을 확인하고 추궁을 이어 갔고, A씨는 김씨가 운전한 것이라고 털어놨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차량 안에 달려 있던 블랙박스에 메모리카드가 빠져 있던 것을 확인했다.

이광득 생각 엔터테인먼트 대표는 뉴스1과의 서면인터뷰에서 김호중 대신 매니저에게 자수하라고 지시한 것이 본인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사고 당사자가 김호중이라는 것이 알려지면 너무 많은 논란이 될 것이라 생각해 두려움을 느꼈다. (그래서) 매니저에게 김호중의 옷을 입고 대신 경찰서에 가 사고 처리를 해달라고 부탁했다”고 했다.

김씨는 사고 발생 17시간이 지난 다음날 오후 4시 30분쯤 경찰서를 찾았다. 사고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나 음주 측정이 이뤄져 경찰은 김씨가 술을 마시고 운전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채널A 보도가 나간 뒤 김씨의 소속사 생각엔터테인먼트는 “‘휘청이다’ 등 주관적인 표현을 사용한 채널A에 유감을 표한다”며 음주 뺑소니 의혹을 재차 부인했다.

소속사 측은 “채널A는 마치 김호중이 유흥주점에서 음주를 한 것처럼 묘사하고 있다”며 “김호중은 지인에게 인사 차 유흥주점에 들렀을 뿐 음주한 사실이 없음을 다시 한번 밝힌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김호중 사태에 막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당사의 잘못된 판단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점 다시 한번 고개 숙여 사과드린다”며 “이광득 대표 등 문제를 일으킨 스태프들은 조사 결과에 따라 법적 책임을 달게 받을 예정이다. 부디 추측성 보도는 자제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지난 16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김씨의 자택과 소속사 생각엔터테인먼트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해 사라진 차량 내 블랙박스 메모리 카드 등 확보에 나섰다. 경찰은 김씨의 음주 여부와 소속사 관계자들의 조직적인 범행 은폐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