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청춘 + 떡볶이 + 배달… 전통시장 부활의 공식

[단독] 청춘 + 떡볶이 + 배달… 전통시장 부활의 공식

유대근 기자
입력 2016-08-24 22:56
업데이트 2016-08-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통시장 매출 2년 연속 증가 왜

2000년 이후 유통 환경과 구매 패턴이 급변하면서 위기를 맞았던 전통시장이 살아나고 있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전국 전통시장(2014년 기준 1398곳) 매출액은 2010년 21조 4000억원에서 2012년 20조 1000억원, 2013년 19조 9000억원으로 해마다 떨어지다가 2014년 20조 1000억원으로 반등에 성공했다. 중기청 관계자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와 내수 침체 등 악재가 많던 지난해에도 시장 매출이 2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말했다. 가장 인기 있는 전통시장은 서울 광장시장이었다. 이들 전통시장에서 가장 많이 즐긴 음식은 떡볶이였고, (잔치·칼)국수와 순대, 만두, 어묵 순으로 소박했다. 상인과 정책 담당자들이 말하는 부활의 비법은 ‘과감한 변화’다. 변화의 중심에는 청년과 개성 있는 콘텐츠, 편리함 등의 키워드가 있다.

이미지 확대
24일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이 점심을 먹으러 나온 직장인과 관광객으로 북적이고 있다. 한때 손님이 없어 고민하던 이 시장은 ‘엽전 도시락’이라는 특색 있는 아이템으로 활기를 찾았다. 손님이 시장 안을 돌며 엽전으로 각종 음식을 사 빈 그릇에 나만의 메뉴를 채워 먹는 방식이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4일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이 점심을 먹으러 나온 직장인과 관광객으로 북적이고 있다. 한때 손님이 없어 고민하던 이 시장은 ‘엽전 도시락’이라는 특색 있는 아이템으로 활기를 찾았다. 손님이 시장 안을 돌며 엽전으로 각종 음식을 사 빈 그릇에 나만의 메뉴를 채워 먹는 방식이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① 청년 우선 상인의 세대교체로 활로를 찾은 전통시장이 눈에 띈다. 광주의 새 명소가 된 ‘1913 송정역시장’이 대표적이다. 송정역시장은 2014년부터 중기청의 지원을 받은 청년 상인들이 빈 점포 30여곳을 채우면서 ‘회춘’했다. 최은영 송정역시장문화관광형육성사업단장은 “원래 채소와 생선가게, 방앗간 같은 점포가 많았고 인근 산업단지의 외국인노동자나 이주여성이 꼭 필요한 물건만 사 가던 곳이었다”며 “청년 상인들이 들어오면서 수제 맥주집과 미니 베이글, 크로켓, 수제 초코파이 등 참신한 먹거리 집이 생겨나면서 고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상인의 평균연령이 62세에서 47세로 떨어지면서 시장 고객도 젊어졌다. 김현석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권육성실장은 “구매력이 좋은 청년 고객이 많아야 시장 매출도 오른다”고 말했다.

② 콘텐츠 특색 있는 콘셉트를 잡아 명물이 된 시장도 많다. 이덕훈 한남대 경영학과 교수는 “전통시장이 환경 개선 등 부족함을 채워 백화점, 마트와 경쟁하려고 해서는 이길 수 없다”면서 “야시장 등 개성 있는 콘텐츠로 경쟁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구 서문시장은 ‘야시장’과 ‘먹거리’라는 콘텐츠를 내세워 손님몰이에 성공했다. 야시장은 사계절 내내 매일 오후 7시 30분부터 11시까지 열리는데, 손님 10명 중 9명이 젊은 세대다. 막창, 닭꼬치 등 다양한 메뉴를 자랑한다. 유명세를 타다 보니 올여름 휴가 기간(7월 21일~8월 10일) 대구 밖에서 관광객이 45만명이나 찾아와 320억원을 쓰고 갔다.

서울 통인시장은 손님들이 일회용 그릇을 들고 시장을 돌며 전용 엽전으로 떡볶이, 나물, 잡채 등으로 자신만의 식단을 만드는 ‘엽전 도시락’ 아이디어로 고객을 끌어모았다. 광주비엔날레의 전시 작품을 빈 점포에 전시해 볼거리를 채운 광주 대인시장이나 안동의 관광코스로 자리잡은 안동 구시장 등도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으로 모객에 성공한 사례다.

③ 편리함 전통시장의 취약점인 불편함을 줄이려는 노력도 보인다. 서울 마포의 망원시장은 상인이 손님과 함께 장을 봐 주고 산 물건을 집까지 배달해 주는 ‘장보기 서비스’로 호응을 얻었다. 국내 전통시장의 절반가량인 700여곳이 정부 지원으로 비막이용 지붕을 설치하는 등 시설을 개선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6-08-25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