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보 경찰 그들은 누구인가] 파급력 큰 조희팔 사건·성접대 의혹 수사 성과… ‘검사 잡는 경찰’ 별명도

[정보 경찰 그들은 누구인가] 파급력 큰 조희팔 사건·성접대 의혹 수사 성과… ‘검사 잡는 경찰’ 별명도

입력 2014-12-22 00:00
업데이트 2014-12-22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직제 조직 ‘범죄정보과’ 어떤 곳

조현오 전 경찰청장은 검·경 수사권 갈등이 고조되던 2011년 말 수사 기능 강화를 위해 경찰청 수사국을 대검찰청에 상응하는 조직으로 확대 개편했다. 당시 신설된 수사기획관은 대검 중수부 수사기획관, 범죄정보과는 대검 범죄정보기획관실에 대응하는 식이다. 경찰 자체 능력으로 대형 사건을 수사할 수 있다는 점을 대내외적으로 천명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범죄정보과는 여전히 경찰청 조직도에서 찾아볼 수 없다.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청사 북관 4층에 사무실이 있고, 19명이 근무하고 있지만 아직 정식 인정을 받지 못한 비직제 조직으로 남아 있다. 범정 1계는 서무와 행정 및 첩보 수집, 2계는 순수 첩보 수집으로 역할이 나뉜다. 과장과 1계장, 서무, 행정 담당을 제외한 15명은 모두 외근직인데 주로 특수수사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 형사들이 배치돼 있다.

이들의 관심사는 상대적으로 중요도와 파급력이 큰 ‘범죄첩보(견문)’에 집중된다. 판검사나 고위공직자 등 사회지도층 관련 비리 수집도 관심사다. 오랫동안 다져온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인지한 범죄 첩보는 물론, 전국 경찰관들이 범죄정보입력시스템에 올린 범죄첩보를 ‘매의 눈’으로 훑어 ‘얘기’가 될 만한 내용들을 구체화시켜 수사가 이뤄지도록 한다. 일선 경찰서나 본청·지방청 분실 소속 정보관들은 수사권이 없는 ‘행정경찰’인 반면, 범정과 소속 경찰관들은 수사권이 있는 ‘사법경찰’이란 점 또한 다르다.

범정과는 그동안 굵직굵직한 성과를 거뒀다. 다단계 사기범 조희팔의 은닉 자금을 추적하던 도중, 김광준 전 부장검사와 조희팔의 관계를 포착한 것도 이들이다. 확인된 첩보는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를 거쳐 검찰로 넘겨졌고, 결국 김 전 부장검사의 사법처리로 이어졌다. 유력인사 별장 성접대 의혹 수사도 범정과 첩보에서 시작됐다. 김학의 법무부 차관이 낙마하면서 범정과는 ‘검사 잡는 경찰’이란 별명을 얻기도 했다. 비직제 조직으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던 범정과는 내년에 정식 직제화된다. 일단 현재 인원대로 수사국 소속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4-12-22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