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다이빙벨’ 첫 투입 20여분만에 다시 ‘물밖’

<세월호참사> ‘다이빙벨’ 첫 투입 20여분만에 다시 ‘물밖’

입력 2014-04-30 00:00
업데이트 2014-04-30 1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세월호 침몰 15일째인 30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인근 사고해역에서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와 관계자들이 해난 구조장비인 ’다이빙 벨’을 물 속으로 투입하고 있다. 다이빙 벨은 잠수사들이 오랜 시간 물속에 머물며 사고현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연합뉴스
세월호 침몰 15일째인 30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인근 사고해역에서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와 관계자들이 해난 구조장비인 ’다이빙 벨’을 물 속으로 투입하고 있다. 다이빙 벨은 잠수사들이 오랜 시간 물속에 머물며 사고현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연합뉴스
세월호 침몰사고 현장에 30일 해난구조지원장비인 ‘다이빙벨’이 처음으로 투입됐지만 20여분만에 다시 물밖으로 나왔다.

애초 이종인 알파잠수종합기술공사 대표는 “조류상태는 다이빙벨 투입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며 “다이빙벨을 이용하면 잠수사들이 50분 정도 작업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이날은 물살이 빠른 사리 중 대조기 기간이다.

전날 팽목항을 떠나 사고해역에 도착한 이 대표는 다이빙벨을 실은 바지선과 사고 선박을 연결하는 버팀줄 등을 설치한 후 이날 오후 3시 45분께 다이빙벨을 선미 쪽에 투입했다.

하지만 잠수사 3명이 탄 다이빙벨은 잠수 28분만인 오후 4시 13분께 물밖으로 올라왔다.

현재 다이빙벨을 물밖으로 끄집어 낸 정확한 이유와 재투입 여부 등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