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국정원 ‘책임 떠넘기기’ 재차 경고

검찰, 국정원 ‘책임 떠넘기기’ 재차 경고

입력 2014-03-18 00:00
업데이트 2014-03-18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도적으로 사실 왜곡하는지 파악해 대처하겠다”

간첩사건 증거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일부 언론보도에 불만을 드러내면서 사실상 국가정보원을 겨냥해 강하게 경고했다.

검찰은 국정원이 협조자 김모(61)씨 등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여론을 호도하기 위해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일부러 흘린다고 의심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진상조사팀장인 윤갑근 대검찰청 강력부장은 18일 “진술내용과 관련해 사실과 다른 내용이 무차별적으로 보도되고 있다”며 “누가 의도적으로, 사실을 왜곡해 방향성을 가지고 끌고 가려는 건지 파악해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검토해볼 것”이라고도 했다.

’검찰이 먼저 제안해 문서 입수를 시도했다’, ‘협조자 김씨가 먼저 문서를 가져오겠다고 했다’라는 김 과장의 진술 관련 보도가 국정원의 ‘꼬리 자르기’ 또는 ‘책임 떠넘기기’ 차원에서 비롯됐다는 판단이다.

윤 부장은 진상조사를 수사로 공식 전환하기 나흘 전인 지난 3일에도 “외부에서 누가 의도를 가지고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국정원의 ‘여론전’을 의식한 발언을 한 바 있다.

현직 국정원 직원 신분인 김 과장이 검찰 조사에 대비해 국정원 본부와 진술 내용을 미리 논의했을 가능성이 큰 점을 감안하면 검찰의 의심에 설득력이 없지는 않다.

증거조작에 개입한 ‘윗선’으로 수사방향을 전환하는 갈림길에 선 상태에서 수사상황이 외부에 노출돼봤자 방해만 된다는 계산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김 과장의 요청으로 문서를 입수했고 위조 사실을 국정원도 알고 있었다”는 협조자 김씨의 진술을 토대로 ‘윗선’ 수사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김 과장이 협조자 김씨의 주장과 상반되는 진술을 계속하며 혼선을 줄 경우 수사가 난관에 봉착할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검찰은 김 과장의 주장을 깰 만한 물증을 확보하는 데 힘을 쏟는 한편 두 사람의 대질신문도 검토 중이다.

협조자 김씨가 관여한 싼허(三合)변방검사참의 위조 답변서 뿐 아니라 김 과장이 개입한 것으로 알려진 다른 위조 문서 2건의 입수·전달 과정에 대한 수사도 ‘윗선’의 개입 여부를 밝히는 경로가 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