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남북무대’ 南 김규현 vs ‘대남일꾼’ 北 원동연

’첫 남북무대’ 南 김규현 vs ‘대남일꾼’ 北 원동연

입력 2014-02-12 00:00
업데이트 2014-02-12 1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차관급’ 남북 수석대표 역할 주목

박근혜 정부 첫 남북 고위급 접촉의 수석대표를 맡은 김규현(61)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 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과 원동연(67)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 부부장에 관심이 쏠린다.
이미지 확대
남북 고위급 접촉의 우리측 수석대표인 김규현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이 12일 오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나와 판문점으로 출발하기에 앞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 차장은 회담에 임하는 각오를 묻는 말에 ”새로운 한반도를 여는 기회를 탐구하는 열린 자세와 마음으로 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남북 고위급 접촉의 우리측 수석대표인 김규현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이 12일 오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나와 판문점으로 출발하기에 앞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 차장은 회담에 임하는 각오를 묻는 말에 ”새로운 한반도를 여는 기회를 탐구하는 열린 자세와 마음으로 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김규현 1차장이 정통외교관 출신으로 글로벌 스탠다드한 외교 무대에 익숙하지만, 남북회담은 처음이고 원동연 부부장은 남북협상에서 잔뼈가 굵은 ‘대남통’이다.

김규현 1차장은 박근혜 정부가 한반도 정세와 북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차원에서 5년 만에 부활시킨 NSC를 총괄하고 있다.

그가 이번 접촉의 수석대표로 나선 것도 앞으로 남북관계에서 NSC가 차지할 위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4일 NSC 업무를 시작하고 나서 불과 8일 만에 남북대화 테이블에 앉게 된 김 1차장은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외교부 1차관을 맡아왔다. 직업외교관으로는 특이하게 서울대 치의학과를 졸업했으며 1980년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고 북미 1과장과 북미국 심의관, 주미공사 등을 대미외교라인을 두루 거쳤다.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국방장관을 지내던 2006∼2007년 국방부 국제협력관으로 파견 근무를 해 윗선과 소통도 원활하다.

북측 단장을 맡은 원동연 부부장은 북한의 대남담당 실세로 꼽힌다.

김일성종합대학 경제학부 출신으로 지난 20여 년간 남북간 주요 회담과 접촉에서 단골 인물로 등장해온 베테랑이다.

작년 6월 남북 당국회담이 수석대표의 이른바 ‘격(格)’ 논란으로 무산됐을 때 북한의 보장성원에는 ‘원동연’이라는 이름의 인물이 포함돼 있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당시 원동연 부부장이 회담을 막후에서 실질적으로 지휘하려고 했던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원동연 부부장은 1990년 남북 고위급회담 때 수행원으로 1차부터 7차 회담까지 참가했고 1992년 고위급 회담 때는 군사분과위원회 위원으로 나섰다.

또 1995년 7월 베이징 2차 쌀 회담 때는 북측 대표를, 같은 해 9월 3차 쌀 회담에서는 대변인을 맡았다.

그는 2009년 10월 통일전선부 과장에서 부부장으로 승진한 것으로 알려졌고 같은 달 싱가포르에서 열린 김양건 통일전선부장과 임태희 당시 노동부 장관의 남북 정상회담 관련 비밀접촉에도 참여했다.

원동연 부부장은 작년 12월 처형된 장성택과 2002년 10월 북한 경제시찰단의 일원으로 함께 서울을 방문하는 등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 부부장 외에도 북한 대표단에는 남쪽에 낯익은 인물들이 대거 포함됐다.

김성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 부장은 작년 6월 남북 당국간 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에서 북한 수석대표을 맡았던 인물로 2002년 박근혜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 밀착수행했다.

또 전종수 조평통 서기국 부국장은 장관급회담 대표를 지내며 남북회담의 경험이 많은 인물이며 국방위 서기실 정책부장인 리선권 대좌(대령급) 역시 2011년 2월 남북 고위급 군사회담 개최를 위한 예비회담에서 북측 수석대표를 맡았다.

특히 북한이 대표단 5명 가운데 리 대좌와 박기용 대좌 등 군인 2명을 포함시킴에 따라 국방위의 ‘중대제안’을 재차 강조할 가능성이 큰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편 남쪽에서는 이번 접촉이 북측의 의중을 타진하는 기회라는 점에서 홍용표 청와대 통일비서관과 손재락 총리실 정책관 등 대북업무를 조율하는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고 평화문제를 논의할 김도균 국방부 북한정책과장과 통일부에서 손꼽히는 회담통인 배광복 회담기획부장이 대표단에 이름을 올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