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 주호영·정책위의장 이종구 합의 추대

원내대표 주호영·정책위의장 이종구 합의 추대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6-12-27 22:50
업데이트 2016-12-27 2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대 지도부 친유·친김 빼 私黨 논란 차단

27일 가칭 개혁보수신당이 첫 번째 원내대표·정책위의장으로 추대한 주호영(왼쪽·대구 수성을), 이종구(오른쪽·서울 강남갑) 의원의 조합은 갈등과 분열을 피하기 위한 한 수로 평가된다.

두 의원은 비주류 성향이지만 ‘친김무성’, ‘친유승민’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은 인물들이다. 개혁신당은 계파 성향이 짙은 인물을 배제하고 창당을 주도한 김 전 대표와 유 전 원내대표는 뒤로 물러서는 모양새를 취해, 특정 중진의 사당(私黨)이라는 논란을 미리 방지한 셈이다. 원내사령탑을 뽑는 과정을 경선이 아닌 추대 형식으로 한 것도 당이 시작하는 때부터 경쟁하고 갈등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 원내대표는 대구·경북(TK) 출신이고, 이 정책위의장은 부산·경남(PK) 출신에 서울 강남이 지역구다. 이들을 추대한 배경엔 앞으로 새누리당과의 보수 적통 경쟁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의미가 내포돼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두 의원의 전문성은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조합에 최적의 조건이다. 판사 출신인 주 의원이 입법 관련 상황을 총괄하고 정당 간 이견을 조율하고, 이 의원은 경제관료 출신이라는 ‘전공’을 살려 당 정책 현안을 다루게 된다.

공교롭게도 둘은 친박(친박근혜)계와 묘한 ‘악연’이 있다. 주 원내대표는 20대 총선에서 친박계 후보에게 밀려 공천에서 탈락한 뒤 이를 인정하지 않고 무소속으로 당선, 새누리당으로 돌아왔다. 이 정책위의장은 당선자 워크숍에서 친박 좌장 최경환 의원에게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삭발하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6-12-28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