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친문 일색’ 더민주 전대…합종연횡 사라지나

‘친문 일색’ 더민주 전대…합종연횡 사라지나

입력 2016-07-31 10:03
업데이트 2016-07-31 1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표·최고위원, 선거인단·투표일정 달라…“짝짓기 어려워”“넓게보면 같은 진영내 싸움…계파별로 표 움직일 상황 아냐”

더불어민주당의 8·27 전당대회에서는 이제까지 단골처럼 등장했던 후보들간 ‘합종연횡’을 구경하기 힘들 전망이다.

최고위원 선출 규정 변경으로 당 대표와 최고위원 후보들의 ‘짝짓기’가 구조적으로 어려워진데다, 후보들 자체가 ‘친문(친문재인)’ 일색이어서 과거 계파별로 표를 나눠갖는 방식은 통용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더민주는 전대에서 선거인단이 대표 경선에 1표, 최고위원 경선에 2표를 행사하는 방식으로 지도부를 선출했다.

이에 따라 당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서로 암묵적인 ‘협정’을 맺고서 표를 주고받는게 일종의 ‘공식’이었다. 당 대표 후보 A를 지지하는 당원들이 최고위원 투표에서는 B에게 몰표를 던지고, 대신 B의 지지자들도 당 대표 경선에서는 A에게 표를 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번 전대부터는 최고위원을 ‘지역별 최고위원’과 ‘부문별 최고위원’으로 나눠서 뽑기로 하면서 이같은 방식의 합종연횡은 성사되기 어려워졌다.

지역별 최고위원은 광역시도당위원장 가운데 호선하기로 돼있는데, 광역시도당위원장은 전대가 아닌 지역시도당대회에서 선출되기 때문이다. 당 대표 경선과 전혀 다른 일정에 따라 선출이 진행되는 셈이다.

더민주 관계자는 31일 “합종연횡 방식이 성사되려면 동시에 전대장에서 투표가 이뤄져야 한다”며 “예를 들어 한 당권후보가 특정 광역위원장 후보를 지지했다가 그 광역위원장 후보가 낙선한다면 전대까지 남은 기간 짊어질 부담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광역위원장 투표 선거인단과 당 대표 투표 선거인단이 동일하지도 않다. 당 대표 후보 입장에서 보면 광역위원장 경선 선거인단은 극히 일부”라며 “일부의 표를 얻기 위해 역효과를 감수하며 합종연횡에 나서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문별 최고위원 역시 선거인단이 겹치지 않아 표를 주고받기 어렵다.

여성 최고위원은 여성 권리당원 3천명, 청년 최고위원은 청년 권리당원 3천명 을 선거인단으로 두고 있다. 이들이 당 대표 경선 투표에 참여한다 하더라도, 당 대표 후보 선거인단의 전체 규모를 고려하면 일부에 불과할 수밖에 없다.

이번 당대표 경선은 대의원 투표 45%, 권리당원 투표 30%, 여론조사 25%를 합산하는 방식이며, 권리당원 투표에 참여하는 인원만 수만 명이 넘는다.

한 후보 캠프의 관계자는 “지난해 혁신위원회가 기존의 최고위원 선출방식을 폐지하고 현행 제도를 도입할 때에도 이처럼 계파별 나눠먹기가 없어지는 효과를 노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후보간 합종연횡이 어려워진데에는 전대의 구도가 친문후보 일색으로 짜여진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있다.

바꿔말해 큰 틀에서는 같은 진영 내의 경쟁으로 흐를 수 밖에 없어 기존 전대처럼 계파별로 ‘뭉칫표’가 움직이는 구조가 아니라는 얘기다.

특히 부문별 최고위원 경선은 ‘범친문’ 후보와 ‘신친문’ 후보간 경쟁구도여서 당 대표 후보들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여성위원장의 경우 문재인 전 대표 시절 영입된 인사인 양향자 전 삼성전자 상무가 출마하며 ‘신친문’ 후보로 분류되지만, 이에 맞서는 유은혜 의원 역시 문 전 대표 시절 대변인을 역임하며 문 전 대표와 가까이에서 활동한 ‘범친문’ 후보로 평가받는다.

청년위원장 역시 문 전 대표가 영입한 인사인 김병관 의원이 후보로 나섰지만, 그와 경쟁하는 이동학 후보 역시 문 전 대표시절 혁신위원회에서 활동했고 장경태 후보도 문 전 대표 대선캠프에서 청년특보를 거쳤다.

당 관계자는 “대표위원 선거도 범친문 진영 안에서만 경쟁이 이뤄지고 있다”며 “특정 계파의 표를 가져오기 위한 합종연횡을 시도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라고 평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