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실험에 착잡한 탈북자들…“강경책은 해법아냐”

北 핵실험에 착잡한 탈북자들…“강경책은 해법아냐”

입력 2013-02-17 00:00
업데이트 2013-02-17 08: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의 3차 핵실험을 지켜본 탈북자들은 대부분 착잡한 심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북한이 개혁·개방의 길을 외면하고 군사력 증강에 매진할수록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고 남북 간 대치도 심화돼 통일로 가는 길이 멀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북한이 핵개발을 지속할수록 북한에 대한 남한 국민의 시선은 차가워지고 이는 탈북자들을 대하는 태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탈북대학생 최모씨는 17일 “북한이 핵실험을 한 날 대학 친구들이 내게 ‘너희 북한 사람들은 모두 공격적이냐’고 물어봤다”라며 “북한이 무슨 짓을 할 때마다 내가 그쪽 출신이라는 게 더 두드러지는 것 같아 신경이 쓰인다”고 전했다.

탈북자 양모씨는 “북한에 있는 가족을 빨리 만나려면 남북관계가 풀리고 서로 왕래할 수 있는 상황이 돼야 할 것”이라며 “지금 상태라면 박근혜 정부에서도 남북관계가 계속 경색될 것 같아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 탈북자단체 관계자는 핵실험과 같은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면 ‘북한 정권 타도’를 외치는 보수성향의 탈북자단체들엔 목소리를 높일 기회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북한 민주화 활동을 하는 탈북자단체들은 지난 14일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북핵문제 해결 방법은 북한 정권교체밖에 없다.”며 북한 주민들이 김정은 정권 반대에 나설 수 있도록 의식화시키는 대북방송과 대북전단 활동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15일 “북한 정권이 바뀌고 무너지기 전에 핵을 포기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고 박근혜 당선인도 지난 13일 “구소련이 핵무기가 없어서 무너진 게 아님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최근 북한 ‘정권교체’에 대한 발언들이 잇따라 나왔다.

이에 대해 대학생을 비롯한 일부 젊은 탈북자들은 “북한은 옛 소련이나 리비아와는 다르다”라며 “외부의 지원이 없이 북한 주민들 스스로 일어나서 정권을 변화시킬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또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제재나 강경책을 쓰는 것은 해법이 될 수 없다고 지적하는 탈북자들도 있다.

서울의 한 대학에서 북한학을 전공하는 김윤미(가명·여) 씨는 “제재나 강경정책은 답이 아니다. 북한을 천만년 고립시켜도 주민만 죽을 뿐 기득권층들은 안 죽고 핵실험을 계속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탈북자 출신인 김형덕 한반도평화번영연구소 소장은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남북, 북미 간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한다. 이는 북한을 안정시킴으로써 핵을 포기하도록 하는 길”이라며 “그래야 북한은 점진적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해나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