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커버스토리] 한물간 여론조사… 빅데이터가 답 될까

[커버스토리] 한물간 여론조사… 빅데이터가 답 될까

입력 2016-08-12 22:40
업데이트 2016-08-12 2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유권자가 선관위에 직접등록 성향 파악
韓, 유권자 정보 합법 확보 불가능
통 단위 선거지리학 기법 효과 기대

2012년 대선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마이크로 타기팅’(Micro Targeting) 전략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페이스북에 담긴 유권자의 성별과 나이·관심사 등에 따라 홍보 메시지를 달리한 게 주효했다. 갓난아기를 둔 30대 여성이 환경보호 포스팅에 ‘좋아요’를 누르면 환경 공약을 이메일로 보내는 식이다.

빅데이터 기술은 이미 정치 분야에도 깊이 들어왔다. 국내 빅데이터 전문가인 고한석 빅토리랩 대표는 “미국은 전체 유권자를 대상으로 ‘우리 당을 지지할 확률’, ‘투표장에 갈 확률’, ‘지지 후보를 바꿀 확률’ 등 3가지를 분석하기 때문에 선별해서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좀 다르다. 우선 유권자 정보를 합법적으로 확보할 수 없어 정보의 질이 떨어진다. 반면 미국은 사업자가 정보 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사후 거부 방식(옵트아웃)을 채택해 선거캠프와 기업 간 정보 거래가 가능하다. 당사자가 거부 의사를 밝히면 그때 중단하면 된다. 이 외에도 미국은 유권자가 선거관리위원회에 유권자 등록을 직접 하기 때문에 지지 정당, 과거 투표 성향 등 몇 가지 사항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런 척박한 상황에서 고 대표는 ‘마이크로 선거지리학’이라는 이름의 작업을 한다. 보통 10개의 동으로 이뤄지는 하나의 선거구를 통 단위로 쪼개 정치지형을 분석하고 어떤 지역에서 유세하는 게 득표를 극대화하는지 분석한다. 고 대표는 “이번 총선에서 새누리당의 압승을 예측했던 여론조사 방식은 기법 자체가 의심받는 상황”이라면서 “선거지리학 기법을 사용하면 어느 지역에 소극적 지지자가 몰려 있는지 알 수 있다”고 밝혔다. 대선이 1년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빅데이터에 대한 정당들의 움직임은 없다. 지도부가 당장 돈을 들여 데이터 축적 작업을 해도 단기적으로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지난 총선 때처럼 안심번호를 통한 여론조사 등에 의존할 것이라는 전망을 전문가들은 내놓는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6-08-13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