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밥 만들어 먹은 美 일가족 기생충 감염…재료가 뭐길래

케밥 만들어 먹은 美 일가족 기생충 감염…재료가 뭐길래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05-27 11:26
업데이트 2024-05-27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흑곰 고기로 케밥 만들어 먹은 일가족
‘트리치노시스’ 감염…발열 등 증상
미국서 2016년 이후 단 7건

이미지 확대
흑곰 자료 이미지(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
흑곰 자료 이미지(기사와 관련 없음).
픽사베이
미국에서 흑곰 고기를 먹은 일가족이 기생충 감염의 일종인 ‘트리치노시스(Trichinosis)’에 감염됐다. 미국에서는 2016년 이후 단 7명만 보고될 정도로 드문 사례다.

26일(현지시간) 미국 USA투데이 등에 따르면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 23일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사우스다코타주에서 흑곰 고기로 만든 케밥을 나눠 먹은 일가족 6명이 트리치노시스에 감염돼 치료를 받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5월 이들 일가족 9명은 사우스다코타주에 모여 가족 중 한 명이 캐나다에서 포획한 흑곰 고기로 케밥을 만들어 먹었다. 약 1주일 뒤 가족 중 한 명이 발열과 심한 근육통, 안와부족, 호산구 증가증(기생충 등으로부터 면역 체계를 보호하는 백혈구의 증가) 등의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했다. 보건당국의 조사 결과 가족 9명 중 6명에게서 트리치노시스 사례가 발견됐다.

트리치노시스는 ‘트리치넬라증’으로도 알려져 있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트리치넬라’속에 속하는 회충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충 감염이다. 주로 날 것이거나 덜 익힌 고기를 먹을 때 감염될 수 있으며, 곰과 멧돼지 같은 야생동물의 고기도 회충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 CDC에 따르면 캐나다와 알래스카에 서식하는 흑곰의 24% 가량이 트리치노시스에 감염됐을 수 있다.

트리치노시스에 감염된 고기를 섭취하면 몸 속에서 유충이 진화하고 발열과 복통, 설사, 근육통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또 몸 속에 퍼져나간 회충은 심장과 뇌로 이동해 심근염과 뇌염 등 심각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보건당국의 조사 결과 이들 일가족이 먹은 흑곰 고기는 냉동실에서 무려 45일 동안 보관된 상태였다. 이들은 고기를 구워 케밥을 만들어 먹었지만 고기가 덜 익은 것을 발견해 다시 구웠다.

트리치노시스 감염은 미국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2016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CDC에 보고된 트리치노시스 감염 사례는 총 7건에 불과하다. 이들 사례 중 대부분의 감염원이 곰고기로 조사됐다고 CDC는 밝혔다.

CDC는 트리치노시스 감염을 막기 위해 곰고기를 요리할 때는 165도 이상의 고온에서 요리해야 하며, 교차 오염을 막기 위해 생고기는 별도로 보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