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일본과 미국서 HMB 생산 가능성 검토…청정에너지 조달이 가장 중요”

최태원 “일본과 미국서 HMB 생산 가능성 검토…청정에너지 조달이 가장 중요”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4-05-24 10:11
업데이트 2024-05-24 1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을 방문 중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시장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와 관련해 일본과 미국 투자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미지 확대
최태원(왼쪽) SK그룹 회장이 지난 23일 일본 도쿄 제국호텔에서 열린 닛케이포럼에서 산토리 홀딩스 니나미 타케시 사장과 대담하고 있다. SK그룹 제공
최태원(왼쪽) SK그룹 회장이 지난 23일 일본 도쿄 제국호텔에서 열린 닛케이포럼에서 산토리 홀딩스 니나미 타케시 사장과 대담하고 있다. SK그룹 제공
최 회장은 지난 23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에서 “HBM은 한국 내 증산에 더해 추가 투자가 필요한 경우에는 일본이나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 생산할 수 있는지 계속 조사하고 있다”라면서 “반도체 분야에서 일본의 제조장치·재료 제조업체와 협업과 투자를 한층 더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산화탄소 삭감에 대한 국제적 요구가 커졌다는 점에서 반도체 제조 거점 개설 요건으로 “클린에너지의 조달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새로운 연구개발(R&D) 시설 설치나 일본 기업에 대한 투자도 검토한다”며 반도체 R&D 분야 협력 강화 의지도 내비쳤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가 간접 출자한 일본 반도체 기업 키옥시아(옛 도시바메모리)와 관련해서는 “투자자로서 키옥시아의 성장을 바란다”고 했다. 지난해 키옥시아와 미국 웨스턴디지털 간 경영통합 협상은 SK하이닉스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으며 비슷한 시기에 SK하이닉스가 키옥시아에 HBM을 일본에서 생산하는 협업 방안을 타진했다는 내용이 현지 언론에 의해 보도된 바 있다.

최 회장은 중국에서 운영하는 반도체 공장과 관련해서는 “중국에서의 사업은 효율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의 이번 인터뷰는 도쿄 제국호텔에서 ‘아시아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닛케이 포럼에 패널 토론자로 참가하면서 이뤄졌다. 최 회장은 포럼에서 “한국과 일본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면서 “이제 양국은 사고를 전환해 서로를 경쟁국이 아닌 협력 대상국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국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