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출 결정난 ‘신동진벼’ 기사회생할까

퇴출 결정난 ‘신동진벼’ 기사회생할까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입력 2024-05-23 17:04
업데이트 2024-05-23 17: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확량이 많다는 이유로 쌀 생산 줄이기 차원에서 퇴출이 결정된 신동진벼가 다시 재배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신동진벼는 도내 농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벼 품종이다. 밥맛이 좋고 수확량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신동진벼를 절반 이상 재배하는 호남평야 전경.
신동진벼를 절반 이상 재배하는 호남평야 전경.
도내 신동진 재배면적은 6만㏊로 전체 벼 재배면적 11만 4000㏊의 53%를 차지한다. 군산시의 경우 73%에 이른다.

그러나 2009년부터 농가에 보급된 신동진벼는 2026년 이후 퇴출이 결정됐다. 쌀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해 다수확 품종 재배를 금지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10a당 570㎏ 이상 생산되는 다수확 품종은 공공비축미 매입 대상에서 제외하고 종자 공급도 중단하고 있다.

그러나 농가들은 신동진벼 퇴출 결정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신동진벼는 신품종 개발 당시 10a당 생산량이 596㎏이었으나 일반 농가들의 평가는 퇴출 기준치를 밑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군산시의회도 “농가 소득 증대 차원에서 정부의 우량 벼 퇴출 기준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전북도는 신동진벼 수확량 재검증을 농식품부에 건의했다.

실제로 일선 농가들이 수확량을 측정한 결과 신동진벼 수확량은 10a당 550㎏ 내외라고 주장한다.

전북도는 농진청 식량과학원에서 새로 개발하는 벼 품종의 지역적응성 시험을 할 때 신동진벼를 함께 재배하여 수확량을 비교 분석해 줄 것을 요청할 방침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신동진벼는 일반 농가들이 재배하는 수준으로 비료를 적당하게 살포할 경우 수확량이 퇴출 기준에 훨씬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며 “올해 쌀 우수 브랜드 평가에서도 옥구농협의 못 잊어 신동진이 대상을 받은 만큼 신동진벼 퇴출을 막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 ”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