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 마켓팅? 대구은행 연 20% 적금 예고…고객 유치 경쟁 치열해진다

노이즈 마켓팅? 대구은행 연 20% 적금 예고…고객 유치 경쟁 치열해진다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4-05-23 16:14
업데이트 2024-05-23 16: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대구은행이 무려 연 20% 금리의 적금 출시를 예고하면서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출범 초기 고금리 특판으로 신규 고객을 최대한 끌어모으겠다는 것인데, 은행의 수익성을 고려하면 ‘노이즈 마케팅’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미지 확대
대구은행 본점 전경. DGB금융그룹 제공
대구은행 본점 전경. DGB금융그룹 제공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구은행은 최근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기념해 고금리 예·적금 상품들을 잇따라 출시할 예정이다. 우선 기본금리 연 3.7%에 최고 4.15%까지 적용되는 정기예금 상품을 1조원 규모로 내놓는다. 현재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의 1년짜리 정기예금의 기본금리가 2.6%까지 내려온데다 우대금리를 포함해도 최대 3.6%이고, 저축은행도 최고 금리가 4.0%에 그치는 것을 감안하면 꽤 높은 편이다.

여기에 더해 대구은행은 최고 연 20%짜리 적금을 다음달 초 내놓겠다고 밝혀 관심이 쏠린다. 4%대 기본금리에 신규 고객, 납입 횟수 등 조건에 따라 최대 16% 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주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고객 확장에 초점이 맞춰진 만큼 여러 명이 모여 함께 가입하는 경우 우대금리를 더 주는 방식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외견상 파격적으로 보여도 은행의 수익성을 고려하면 우대 조건이 매우 까다롭거나 기간 및 납입 한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은행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대구은행은 구체적인 요건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매일 납입하는 형태의 적금이 될 거라고 소개했다. 이 경우 기간 자체가 한 두달 정도로 짧거나 납입할 수 있는 금액이 적으면 연 환산 금리가 아무리 높아도 실제 얻는 혜택은 미미할 수 있다.

32년만의 새 시중은행 탄생에 기존의 은행들도 고객 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상품 등을 관심있게 보고 있다. 다만 기존 시중은행들의 입지가 공고해 영향이 크진 않으리란 분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출범 초기에는 고객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는데 이 고객을 다음 상품과 연계해 유지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며 “시중은행과는 체급 차이가 많이 나고, 인터넷은행도 가입자가 4000만이 넘기 때문에 그 틈을 벌려 시장을 확장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