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랄 때 있지만 MZ 소통법 오히려 좋아”

“놀랄 때 있지만 MZ 소통법 오히려 좋아”

서진솔 기자
서진솔 기자
입력 2024-05-22 00:42
업데이트 2024-05-22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허웅·최준용 아우른 ‘KCC 캡틴’ 정창영

이미지 확대
부산 KCC의 주장 정창영이 지난달 17일 원주종합체육관에서 열린 2023~24 프로농구 4강 플레이오프 2차전 원주 DB와의 원정경기에서 드리블하며 날카로운 눈빛으로 동료를 바라보고 있다.  한국농구연맹 제공
부산 KCC의 주장 정창영이 지난달 17일 원주종합체육관에서 열린 2023~24 프로농구 4강 플레이오프 2차전 원주 DB와의 원정경기에서 드리블하며 날카로운 눈빛으로 동료를 바라보고 있다.
한국농구연맹 제공
프로농구계의 ‘대표 MZ’ 최준용, 허웅과 1963년생 현역 최고령 전창진 감독 사이에서 묵묵하게 방향키를 잡은 캡틴 정창영(36)이 부산 KCC를 정상으로 이끄는 기적의 항해를 무사히 마쳤다. 그는 “우여곡절이 많아 힘들었지만 서로 조금만 배려하면 무서운 팀이 될 거라 확신했다. 결국 우승으로 ‘슈퍼팀’을 완성했다”고 털어놨다.

●선수단과 코치진 가교 역할로 바쁜 시즌

정창영에게 지난 8개월은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란 시간이었다. 선수단과 코치진의 가교 역할을 하며 침체한 선수들을 다독이는 한편 본인의 경기력까지 끌어올려야 했다. 또 하나의 과제는 최준용, 허웅 등의 거침없는 소통 방식에 적응하고 때론 중재하면서 단합력을 높이는 것이었다.

정창영은 21일 경기 용인시 KCC체육관에서 진행한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최준용과 허웅에 대해 “감독, 코치님을 대할 때 너무 서슴없어 놀랄 때가 있다”며 웃었다. 이어 “저는 격식을 차려야 하는 시절에 운동했지만 요즘 선수들은 편하게 다가간다. 코치진도 흔쾌히 받아 주니까 오히려 보기 좋다”면서 “다만 가끔 선을 넘을 때는 중재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정창영이 가장 신경 쓴 후배는 국가대표 포워드 이승현이었다. 이승현은 정규리그에서 부진에 허덕이며 득점(7.2점), 리바운드(3.6개) 모두 2014년 데뷔 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정창영은 “밑바닥부터 올라온 저는 출전 시간이 줄어도 적응할 수 있었는데 승현이는 신인 때부터 주전이었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힘들어했다”며 “부담을 내려놨으면 좋겠다고 위로했는데 시즌 막판 이겨 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정창영
정창영
●“주장으로 볼 때 팀의 전환점은 허웅”

주장이 꼽은 팀의 전환점은 허웅이 전 감독에게 단독 면담을 신청한 지난 3월 3일이다. 당시 정규리그에서 서울 SK에 21점 차 대패를 당한 선수단은 변화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웅이가 먼저 감독님을 찾아가도 되겠느냐고 물어봤다”며 운을 뗀 정창영은 “수비보다 빠른 공격으로 승부를 봐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고 감독님도 받아들여 주셨다. 어릴 때부터 감독님을 봐 온 웅이가 더 편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았다”고 회상했다.

상승세를 탄 KCC는 정규리그 5위로 사상 처음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한 뒤 13년 만에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동료들의 헹가래를 받았지만 정창영에게 지난 시즌은 결코 쉽지 않았다. 그는 최준용, 송교창 등이 차례로 합류하고 시즌 중 부상으로 연달아 이탈하는 혼란 속에서 경기력을 유지하는 데 애를 먹었다. 그의 평균 출전 시간도 2019~20시즌 이후 처음 20분 미만으로 줄었다. 정창영은 “아무리 경험이 많아도 경기 중간에 슛 감각과 리듬을 찾는 건 어렵다. 그래서 몸을 아끼지 않는 플레이로 동료들에게 투혼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면서 “팀원들을 보조하며 목표를 이뤘다. 스스로 고생했고 대견하다고 칭찬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슈퍼팀’ 동료들과 함께 정규리그 1위 DB를 꺾고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한 정창영이 지난 5일 수원 KT아레나에서 수원 kt를 제압하고 우승을 확정한 뒤 최준용과 진하게 포옹하고 있다(왼쪽). 지난달 19일 부산사직체육관에서 진행된 DB와의 4강 3차전에서 허웅과 하이파이브하는 정창영(오른쪽). 한국농구연맹 제공
‘슈퍼팀’ 동료들과 함께 정규리그 1위 DB를 꺾고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한 정창영이 지난 5일 수원 KT아레나에서 수원 kt를 제압하고 우승을 확정한 뒤 최준용과 진하게 포옹하고 있다(왼쪽). 지난달 19일 부산사직체육관에서 진행된 DB와의 4강 3차전에서 허웅과 하이파이브하는 정창영(오른쪽).
한국농구연맹 제공
●내년 FA 자격… “건아와 다시 같이 뛰고 싶어”

정창영에겐 내년이 올해보다 더 중요할지 모른다.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은사 전 감독과 함께하는 마지막 시즌을 통해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기 때문이다. 정창영은 팀과 전 감독에 대해 “애정이 남다르다. 2019년 친정팀 창원 LG와의 재계약이 결렬되고 은퇴까지 고려했는데 별 볼 일 없는 선수인 제게 손을 내밀어 줬다”며 “경기에 나서기 위해 궂은일부터 집중했고 감독님이 가치를 알아봐 주셨다”고 강조했다.

2연패를 노리는 KCC의 외국인 선수도 새롭게 구성될 예정이다. 정창영과 같은 해 팀에 입단한 라건아는 특별귀화선수에서 외국인으로 신분이 바뀌었다. 정창영은 “건아가 플레이오프에서 보여 준 퍼포먼스는 압도적이었다. 같이 시작했기 때문에 다음 시즌에도 함께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몸 관리를 잘해 연속 우승한 다음 더 오랫동안 코트를 밟고 싶다. 계속 KCC와 함께하길 바란다”고 각오를 밝혔다.
글·사진 서진솔 기자
2024-05-22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