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끊고 PC로 들어간 AI… MS·삼성전자·델 ‘무한 경쟁’

서버 끊고 PC로 들어간 AI… MS·삼성전자·델 ‘무한 경쟁’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4-05-22 00:41
업데이트 2024-05-22 0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온디바이스 AI PC 잇따라 출시
오프라인 상황서 AI 활용 가능
처리속도 빠르고 보안사고 예방

이미지 확대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가 20일(현지시간) 미디어 콘퍼런스에서 신제품 ‘코파일럿+PC’를 소개하고 있다.  레드먼드 AFP 연합뉴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가 20일(현지시간) 미디어 콘퍼런스에서 신제품 ‘코파일럿+PC’를 소개하고 있다.
레드먼드 AFP 연합뉴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삼성전자, 델테크놀로지스가 각각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내장된 PC 신제품을 공개하며 ‘AI PC’ 시대를 본격화했다. 세 기업의 제품 모두 기업용 서버나 외부 클라우드 접속 없이 오프라인 상황에서도 PC 제품 자체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내장형) AI PC로 제작됐다.

MS는 연례 개발자 회의 ‘빌드’(Build)를 하루 앞둔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 캠퍼스에서 미디어 콘퍼런스를 열고 온디바이스 AI PC ‘코파일럿+(플러스)PC’를 공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지금까지 만들어진 것 중 가장 빠르며, AI를 지원하는 윈도 PC”라고 소개하면서 “이제 컴퓨터가 우리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원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코파일럿은 MS의 모든 제품에 탑재된 생성형 AI 모델로 지금까지는 외부 클라우드에 연결된 상황에서만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었다. 생성형 AI가 기업 사무 전반을 비롯해 일반 사용자의 일상에 깊숙이 들어오면서 서버나 클라우드를 통한 기업의 민감한 정보나 개인의 사생활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업계 관계자는 “코파일럿+PC와 같은 온디바이스 AI PC는 기기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보안 사고 가능성이 매우 낮으면서 처리 속도는 더욱 빨라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삼성전자 하이브리드 AI PC ‘갤럭시 북4 엣지’.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하이브리드 AI PC ‘갤럭시 북4 엣지’.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MS의 신제품 발표에 맞춰 21일 ‘하이브리드 AI’가 탑재된 ‘갤럭시 북4 엣지’를 공개했다. 코파일럿+PC 모델을 채택해 온디바이스 AI PC로 활용하면서 상황에 따라서는 클라우드에 접속해 AI 기능을 지원한다.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AI 기능은 사용자가 설정을 활성화하는 경우에만 이용 가능하며 사용자는 언제든 설정을 켜고 끌 수 있다.

아울러 미국 델테크놀로지스도 이날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한 ‘델테크놀로지스월드 행사’에서 퀄컴의 신경망처리장치(NPU)를 탑재한 AI PC 신제품군을 공개하며 AI PC 경쟁에 가세했다.

박성국 기자
2024-05-22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