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규의 시대, 뭉크의 뭉클한 위로… 105일 대장정 막 올랐다

절규의 시대, 뭉크의 뭉클한 위로… 105일 대장정 막 올랐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오경진 기자
입력 2024-05-22 00:36
업데이트 2024-05-22 0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간 120주년 ‘뭉크展’ 오늘 개막

전 세계에 소장된 140점 작품 전시
유인촌 장관 “예술의 힘 느꼈으면”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 창간 120주년 기념 전시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 개막을 하루 앞둔 21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사전 개막식이 열렸다. 개막식에 참석한 주요 내빈과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디터 부흐하르트 큐레이터, 토머스 댄지거 댄지거아트컨설팅 대표, 장형준 예술의전당 사장,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 안네 카리 한센 오빈 주한 노르웨이대사,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상열 서울신문 회장, 김대헌 호반그룹 기획총괄사장 부부, 조억헌 서울신문 부회장, 곽태헌 서울신문 사장. 박지환 기자
서울신문 창간 120주년 기념 전시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 개막을 하루 앞둔 21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사전 개막식이 열렸다. 개막식에 참석한 주요 내빈과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디터 부흐하르트 큐레이터, 토머스 댄지거 댄지거아트컨설팅 대표, 장형준 예술의전당 사장,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 안네 카리 한센 오빈 주한 노르웨이대사,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상열 서울신문 회장, 김대헌 호반그룹 기획총괄사장 부부, 조억헌 서울신문 부회장, 곽태헌 서울신문 사장.
박지환 기자
서울신문 창간 120주년 기념 전시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이 105일(휴관일 제외)의 대장정을 시작했다.

개막을 하루 앞둔 21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린 사전 개막식에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김상열 서울신문 회장을 비롯해 조억헌 서울신문 부회장, 곽태헌 서울신문 사장, 김대헌 호반그룹 기획총괄사장, 장형준 예술의전당 사장, 윤성용 국립중앙박물관장, 안네 카리 한센 오빈 주한 노르웨이대사 등 각계 고위 인사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유 장관은 “결핍은 어느 시대이건 불타는 예술혼의 연료로 작용하며 이것이 예술의 본질이자 우리가 예술을 계속하는 이유”라며 “이번 전시를 찾는 관객들이 고통과 불행에서도 꺾이지 않는 정신, 어둠에서 빛을 보고 죽음에서 삶을 되찾는 역설, 예술이 지닌 위대한 힘을 느끼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빈 대사는 “노르웨이 문화 정체성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뭉크를 서울신문 120주년 기념 전시로 소개해 줘 감사하다”며 “한국과 노르웨이 수교 65주년을 맞이한 해에 이번 전시가 큰 기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9월 19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뭉크의 생애와 예술 세계를 조망할 수 있는 유럽 밖 최대 규모로, 뭉크 미술의 최고 권위를 가진 노르웨이 뭉크미술관을 포함해 전 세계 23곳의 소장처에서 온 140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곽 사장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언론사인 서울신문은 올해 창간 120주년을 맞아 뭉크전을 기획했다”며 “불행했던 자신의 삶과 죽음에 대한 공포를 예술로 승화시킨 뭉크의 작품은 시대를 초월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실존의 의미에 대한 깊은 울림을 선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수경·오경진 기자
2024-05-22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