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타임머신 타고 ‘추억 여행’ 떠난다 [달콤한 사이언스]

새들은 타임머신 타고 ‘추억 여행’ 떠난다 [달콤한 사이언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5-19 14:00
업데이트 2024-05-19 14: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어치새는 저장된 먹이의 위치를 기억하는데 탁월한 능력을 보인다. 어치새가 오래전에 숨겨놓은 먹잇감을 찾을 수 있는 것은 사람의 ‘일화 기억’ 능력처럼 과거를 정확히 회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키피디아 제공
어치새는 저장된 먹이의 위치를 기억하는데 탁월한 능력을 보인다. 어치새가 오래전에 숨겨놓은 먹잇감을 찾을 수 있는 것은 사람의 ‘일화 기억’ 능력처럼 과거를 정확히 회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키피디아 제공
흔히 사람들은 ‘응답하라’ 시리즈나 최근 ‘선재 업고 튀어’ 같은 과거 소재 드라마를 보거나, 옛 모습을 재현한 장소를 가면 ‘추억 여행’을 한다. 추억 여행이 가능한 것도 알고 보면 과거의 사건과 상황을 떠올릴 수 있는 일화 기억(episodic memory) 때문이다. 그런데, 추억 여행이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이 아니라는 재미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싱가포르 국립대의 심리학자들이 유라시아 어치라는 새는 과거 사건에 대한 세부 사항을 기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 5월 16일 자에 실렸다.

사람은 사건을 기억할 때 의식적으로 과거 경험을 재구성하고, 당시에는 중요하지 않아 보였던 세부 사항을 기억해내는 ‘정신적 시간 여행’ 능력이 있다. 일화 기억이라는 인간에게만 있는 고유한 능력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저장된 먹이의 위치를 기억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유라시아 어치 7마리를 대상으로 일화 기억 능력을 시험했다. 연구팀은 똑같이 생긴 4개의 컵을 일렬로 세워놓고 컵 아래에 먹이를 넣는 것을 보여준 뒤 먹이가 놓인 컵을 정확하게 선택하면 보상을 줬다. 반복 훈련을 통해 어치들은 먹이가 숨겨진 올바른 컵을 식별하도록 했다.
이미지 확대
어치새의 일화 기억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치  영국 케임브리지대 제공
어치새의 일화 기억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치

영국 케임브리지대 제공
연구팀은 독특한 모양을 가진 컵 중 하나 아래에 먹이를 놓는 것을 보게 한 다음, 10분 뒤 컵을 재배열해 기억력을 평가하는 실험을 했다.

먹이가 숨겨진 컵의 위치가 바뀌고 시간이 지난 뒤였지만, 새들은 70% 이상 컵을 정확히 찾아냈다. 이는 인간의 일화 기억 능력과 비슷한 기억력을 어치새가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새들도 일화 기억 능력이 있기 때문에, 오래전에 숨겨둔 먹이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니콜라 클레이튼 케임브리지대 심리학과 교수(비교인지과학)는 “어치새들은 기억이 만들어질 당시 특별한 가치나 관련성 없는 세부 사항도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쉽게 정보를 끌어낼 수 있는 것”이라며 “이는 과거의 사건이나 상황을 재현해 내는 인간의 일화 기억과 똑같은 메커니즘”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