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가상공연 환경 구축 등 디지털 기반 K-컬처 육성…5197억 투입

문체부, 가상공연 환경 구축 등 디지털 기반 K-컬처 육성…5197억 투입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05-09 15:03
업데이트 2024-05-09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지난해 서울 중구 CKL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문화 디지털신대륙 협의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문체부 제공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지난해 서울 중구 CKL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문화 디지털신대륙 협의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문체부 제공
문화체육관광부는 글로벌 가상공연 환경 구축 등 총 98개 과제에 5197억원을 투입하는 ‘2024년 문화 디지털혁신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지난해 문체부가 발표한 ‘문화 디지털혁신 기본계획 2025’(2023~2025)의 일환으로 연도별 실행계획을 밝힌 것이다.

문체부는 앞으로 디지털 기반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신기술 콘텐츠 융·복합 아카데미 운영, 인공지능 콘텐츠 제작 지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특화 콘텐츠 지원, 창·제작 활성화를 위한 도서관 지식정보자원 공유기반 구축, 한국어 말뭉치 구축, 문화데이터 광장 운영, 문화산업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세계적 가상공연 및 인공지능 기반 공연예술 안전 환경구축 기술연구 등을 추진한다.

또 디지털 문화향유를 위한 플랫폼 확산을 위해 대국민 문화정보포털 고도화, 국립 문화시설 관람 예약 및 도서 상호이용 등 문화 디지털 서비스를 개방하고, 시청각 장애인 정보 접근성 강화,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구축, 장애인 전자책 뷰어 개발 지원 등에 나선다.

이밖에 기술이 가져오는 새로운 분야와 서비스 등장에 선제적으로 제도를 개선해 대응하고 사이버 위협에 대비해 문화자원 안전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문체부는 또 문화정보화전담 기관인 한국문화정보원의 ‘문화 디지털혁신 통합지원센터’ 기능을 강화하고 디지털신기술 컨설팅과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등 관련 업무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전병극 문체부 1차관은 “디지털혁신은 단순한 기술의 도입을 넘어 우리 문화의 본질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모든 세대가 시간과 거리 제약 없이 문화를 즐기며 서로를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앞으로도 문화 소외계층의 문화 향유를 확대하고 지역 간 문화 격차를 해소하며 지속 가능한 K-컬처를 확산하기 위해 문화산업을 지원하는 등 문화 전반에 디지털혁신 일상화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윤수경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